• 지난 1년간 주가 460% 급등 장중 1위 마오타이 제쳐⋯시총 5천억 위안 돌파
  • 중국정부, 엔비디아칩 거부하고 기술 자립에 실적호조 가속화

 

중국판 엔비디아.png
'중국판 엔비디아’'로 부상한 캠브리콘이 중국 내 인공지능(AI) 칩 수요 급증에 힘입어 올해 상반기 놀라운 '어닝 스프라이즈'를 기록했다. 사진은 캠브리콘 테크놀로지스의 반도체 칩. 사진=신화/연합뉴스

 

중국의 반도체 설계업체(팹리스) 캠브리콘 테크놀로지스(이하 캡브리콘)가 중국 내 인공지능(AI) 칩 수요 급증에 힘입어 올해 상반기 놀라운 '어닝 스프라이즈'를 기록했다. 이에 따라 '중국판 엔비디아'에 한 걸음 다가섰다.

 

27일(현지시간) 중국 경제매체 차이롄서 등에 따르면 캠브리콘은 상반기 매출액이 28억8000만 위안(약 5615억 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4348% 급증했다고 전날 공시했다. 또한 상반기 순이익은 10억4000만 위안(약  2020억 원)을 기록해 작년 상반기 5억3000만 위안 순손실에서 흑자전환했다고 덧붙였다.

 

캠브리콘은 이날장중 한때 마오타이를 제치고 중국에서 가장 비싼 주식으로 등극했다. 캠브리콘은 지난 1년간 약 460% 급등해 시가총액이 5000억 위안(약 97조6000억 원)을 돌파한 상태다.

 

블룸버그통신은 이날 캠브리콘의 주식이 최근 10% 급등하며 1465위안(28만 5968원)에 달했다고 보도했다. 캠브리콘은 이날 장 중 한때 최고점을 경신한 후 상승폭을 일부 반납하며 다시 2위로 내려앉았다.

 

캠브리콘은 인공지능(AI) 반도체를 개발하는 중국의 선도적인 반도체 기업이다. 

 

2016년 설립된 이 회사는 AI칩과 머신러닝 및 딥러닝과 관련된 반도체를 설계하고 생산하고 있다. 특히 AI 처리에 최적화된 칩을 개발하며 자율주행차, 클라우드 컴퓨팅, 영상 인식 등 분야에서 활용되는 고성능 칩을 개발한다.

 

캠브리콘은 AI 수요에 힘입어 지난 1년간 약 460% 급등해 시가총액이 5000억 위안(약 97조6000억 원)을 돌파한 상태다.

 

블룸버그는 캠브리콘의 주가 급등에 대해 "투자자들이 소비재 기업을 떠나 기술 섹터에 투자하고 있다"며 "디플레이션과 무역 갈등에 휩싸인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는 모습"이라고 분석했다. 

 

미국 투자은행(IB) 골드만삭스 그룹이 이익 전망을 이유로 회사의 목표주가를 50% 상향 조정한 것도 시장 수요를 밀어올렸다는 평가다.

 

중국 정부가 기술 자립을 위해 미국의 엔비디아 AI칩 사용을 자제할 것을 촉구한 것도 캠브리콘의 실적에 영향을 미쳤다. 이같은 상황에서 중국의 기술 자립을 촉진할 잠재력 있는 국내 기업들에 대한 수요가 급증한 것으로 해석된다. 

 

웡쿤 총 BNY 수석전략가는 "만약 딥시크가 중국산 칩을 사용할 수 있다면 나머지 반도체주도 날아오를 수 있다"며 "중국 칩의 잠재적 수요가 엄청날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한때 중국 투자자들의 러브콜이 쏟아지던 주류 주식은 주택 시장 침체에 따른 경기 불황과 중국 정부의 절약 캠페인으로 부진을 겪고 있다. 중국 증시 선두를 달리던 마오타이의 주가는 실적 악화로 최근 약 4% 하락했다.

전체댓글 0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중국판 엔비디아' 캠프리콘, AI칩 수요급증에 '어닝 스프라이즈'⋯장중 시총 1위 등극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