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율 관세에도 주문 취소 '제로'…내년까지 생산 물량 완판
  • 테슬라·리비안과 대비되는 프리미엄 전략 효과 부각
슈퍼카 페라리 EPA 연합뉴스.jpg
이탈리아 슈퍼카 브랜드 페라리가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단행한 자동차 수입 관세 조치에도 불구하고 1분기 시장 기대치를 뛰어넘는 실적을 내며 관세 무풍지대임을 입증했다. '열정과 전설. 가장 중요한 페라리의 특별한 선택' 전시회가 2025년 4월 15일 스페인 사라고사에 있는 이베르카자 재단에서 열리고 있다. 이 전시회는 2025년 8월 31일까지 일반에 공개된다. 사진=EPA/연합뉴스

 

이탈리아 슈퍼카 브랜드 페라리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자동차 수입 관세(25%) 여파에도 시장 전망치를 웃도는 1분기 실적을 기록했다.

 

6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에 따르면 베네데토 비냐 페라리 CEO는 "주문 약화 조짐은 없다"며 "관세에도 미국 수요는 여전히 뜨겁다"고 밝혔다.

 

페라리는 미국 수출 차량 가격을 최대 10% 인상했지만, 주문 취소는 없었고 내년까지 생산 물량이 모두 소진된 상태다.

 

1분기 페라리의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23% 증가한 5억4200만 유로(약 8590억 원), 매출은 13% 늘어난 17억9000만 유로(약 2조8369억 원)를 기록했다.

 

페라리는 올해 영업이익 20억 유로, 이윤율 29% 이상이라는 기존 전망도 유지했다.

 

[미니해설] 관세에도 끄떡없는 페라리…슈퍼카 수요 '뜨겁다'


이탈리아 슈퍼카 브랜드 페라리가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단행한 자동차 수입 관세 조치에도 불구하고 1분기 시장 기대치를 뛰어넘는 실적을 내며 저력을 입증했다.


페라리는 6일(현지시간) 실적 발표를 통해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보다 23% 증가한 5억4200만 유로(약 8590억 원)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매출은 17억9000만 유로(약 2조8369억 원)로 13% 늘었다.

 

맞춤형 수요·브랜드 파워로 견조한 실적


이러한 실적은 미국의 고율 관세라는 외부 변수 속에서도 고객 주문 취소 없이 전량 인도 예정 물량을 유지한 데 따른 결과다. 베네데토 비냐 페라리 CEO는 "현재 고객 주문의 약화 징후는 전혀 없으며, 관세에도 불구하고 미국 수요는 여전히 뜨겁다"고 설명했다.


페라리는 이탈리아 현지 공장에서 전량 생산하며 전체 판매량의 약 25%를 미국 시장에 수출한다. 따라서 미국의 25% 수입차 관세는 직격탄이 될 수 있는 요인이었지만, 페라리는 지난 4월부터 미국 수출 차량 가격을 최대 10% 인상하는 방식으로 대응했다.

 

테슬라 등 전기차업체, 관세 직격탄


통상적인 완성차 제조사들이 관세 부담으로 수익성 하락과 주문 감소를 겪는 상황과는 대조적이다. 실제로 같은 시기 전기차 브랜드 테슬라는 독일과 영국에서 각각 46%, 62%에 달하는 판매량 감소를 기록하며, 4월 영국 내 신차 등록 대수가 512대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에서는 테슬라의 판매 부진에 대해 유럽 내 출시 지연, 미국 관세정책, CEO 일론 머스크의 정치적 행보에 대한 반감 등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반면 페라리는 고객 맞춤형 차량 수요가 견조한 흐름을 보이고 있으며, 내년까지 이미 생산 계획이 모두 채워진 상태다. 고가 차량을 중심으로 한 브랜드 가치와 고객 충성도가 페라리를 방어막 삼아주고 있다는 평가다.


특히 고급화 전략을 고수한 페라리는 맞춤형 디자인과 엔지니어링을 통해 마진율이 높은 수주형 모델 비중을 확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올해 조정 영업이익 20억 유로(약 3조1698억 원), 이윤율 29% 이상이라는 기존 연간 가이던스를 그대로 유지했다.


투자은행 번스타인의 애널리스트 스티븐 라이트만은 "다수 완성차업체가 미국발 관세 불확실성으로 실적 전망 가이던스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페라리는 예외적으로 안정감을 주는 기업"이라고 평가했다.


다만 CNBC는 페라리 역시 관세의 영향권에서 완전히 자유롭지는 않다고 지적했다. 페라리는 올해 수익성에 일부 부정적 영향이 불가피하다며, 영업이익(EBIT)과 상각 전 영업이익(EBITDA) 마진이 기존보다 0.5%포인트가량 줄어들 가능성을 언급했다.

 

대중 전기차 브랜드, 가격 민감도 따라 수요 즉각 반응


한편 미국 전기차 스타트업 리비안도 1분기에는 시장 기대를 웃도는 실적을 냈지만, 연간 차량 인도 목표를 줄이고 자본 지출을 늘리며 "글로벌 무역·경제 환경의 예외일 수 없다"고 밝혔다.


이는 트럼프 행정부의 통상정책이 고급 브랜드와 대중 브랜드 간의 시장 반응 차이를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사례다. 고급 슈퍼카 브랜드는 브랜드 충성도와 주문제 수주 기반으로 충격을 흡수하는 반면, 대중 전기차 브랜드는 가격 민감도에 따라 수요가 즉각 반응하는 구조다.


관세 환경 속에서도 가격 인상 여력을 지닌 페라리와, 가격 경쟁력을 잃은 테슬라의 명암은 글로벌 자동차 산업 내에서 '프리미엄 전략'의 중요성을 다시금 부각시키고 있다.

전체댓글 0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페라리, 관세에도 '질주'…1분기 영업익 23% 증가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