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중국해 누빌 핵심 전력 확보 승부수…한국 HDL-13000 제시
  • 2025년 10월 입찰 예정…2031년 인도 목표

다목적 지원함. 사진=에어스페이스 리뷰

말레이시아 해군 차세대 다목적 지원함(MRSS) 사업을 놓고 한국의 현대중공업과 이탈리아 핀칸티에리, 인도네시아 PT PAL이 치열한 수주 경쟁을 예고하고 있다. 2025년 10월 입찰이 예상되는 가운데, 각 조선소는 현대중공업의 HDL-13000, 핀칸티에리의 산 조르지오급, PT PAL의 마카사르급 등 각사의 주력 다목적 지원함 설계를 제시하며 기술력 대결을 펼칠 전망이다. 사진=에어스페이스 리뷰 


말레이시아 왕립 해군(RMN)의 다목적 지원함(MRSS) 사업 수주를 놓고 한국의 현대중공업(HHI), 이탈리아의 핀칸티에리, 인도네시아의 PT PAL 등 3개 조선업체가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5일(현지시간) 에어스페이스 리뷰 보도에 따르면 말레이시아 국방부는 오는 10월께 초기 2척의 MRSS 구매를 위한 공식 입찰을 개시할 예정이다. 함정 인도는 2031년부터 2035년 사이로 예상된다.


RMN은 군수 지원 및 작전 준비 능력 강화를 위해 MRSS 확보의 중요성을 강조해왔다. 말레이시아는 남중국해로 인해 국토가 두 개 지역으로 분단된 특수한 지리적 환경을 가지고 있으며, MRSS는 이러한 환경에서 효과적인 작전 수행에 필수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현대중공업, HDL-13000으로 말레이시아 해군 공략


이번 사업에서 현대중공업은 HDL-13000 함정 설계를 제시했다. 이 함정은 길이 130m에 순항 속도 14노트를 자랑한다. 현대중공업 측은 HDL-13000이 상륙 작전 지원은 물론, 최대 16대의 주력 전차와 6대의 다목적 장갑차, 그리고 수백 명의 해병대 병력 수송 능력을 갖췄다고 밝혔다.


한편, 핀칸티에리는 개선된 설계를 적용한 산 조르지오급 상륙수송함(LPD)을 제안했다. 이 LPD는 길이 143m, 폭 21.5m에 순항 속도 15노트의 성능을 갖추고 있으며, 150명의 승조원과 400명의 해병대 병력, 그리고 다수의 수륙양용 장갑차를 수용할 수 있다.


PT PAL의 마카사르급 LPD, 가격 경쟁력 무기로 도전


인도네시아의 PT PAL은 길이 125m, 폭 22m의 마카사르급 LPD로 경쟁에 참여했다. 이 함정은 승조원을 포함해 최대 507명의 인원을 수송할 수 있으며, 약 35대의 장갑 전투 차량 탑재가 가능하다.


말레이시아 해군의 MRSS 사업은 향후 동남아시아 해군력 증강의 중요한 지표가 될 것으로 전망되며, 현대중공업이 이번 경쟁에서 어떤 결과를 얻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전체댓글 0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말레이시아 해군 차세대 함정 사업, 승자는?…현대중공업, 핀칸티에리, PT PAL 3파전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