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
-
손정의 SBG 회장, 1천억 달러 규모 AI반도체 벤처 펀드 조성 계획
- 손정의(孫正義) 소프트뱅크그룹(SBG) 회장겸 사장은 엔비디아에 경쟁하고 인공지능(AI) 개발에 필수적인 반도체를 공급하기 위해 1000억 달러(약 133조 원) 규모의 첨단 AI 반도체 벤처펀드를 조성할 계획이다. 연합뉴스는 17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의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해 AI 반도체 벤처 펀드가 최근 스타트업 투자를 급격히 축소하고 있는 손정의 회장의 투자 펀드의 다음 시나리오가 될 전망이라고 보도했다. 이 프로젝트는 '이자나기'로 불리는 코드네임으로 불리고 있다고 이 통신은 전했다. 손 회장은 SBG 산하 영국 반도체설계회사 ARM홀딩스를 보완할 회사를 구상하고 있다는 것이다. 한 소식통은 현재 검토되고 있는 한가지 안은 SBG가 300억 달러를 출자하고 중동의 투자자들로부터 700억 달러를 조달하는 방식이라고 지적했다. 성공한다면 이 반도체 프로젝트는 대화형 AI '챗GPT' 등장 이후 AI분야에서 최대급 투자규모가 되며 미국 마이크로소프트(MS)의 오픈AI에 대한 투자액 100억달러 규모를 크게 넘어서게 된다. 손 회장은 이 프로젝트를 '이자나기'로 명명한 이유중 하나는 범용인공지능(AGI) 머릿글자가 포함돼 있기 때문이라고 소식통들은 전했다. 손 회장은 오랫동안 자산의 프리젠테이션에서 AGI의 도래를 예견했으며 인간보다도 현명한 기계로 채워진 세계는 보다 안전하고 건강하며 행복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자금조달 방법과 자금 사용방식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으며 프로젝트는 더 변화할 가능성도 있다고 소식통은 덧붙였다. 손 회장은 AI시장에 대한 ARM 진출을 강화하기 위해 다수의 투자 아이디어와 전략을 끊임없이 짜내고 있었으며 다른 종류의 차세대 반도체를 항상 모색하고 있다는 것이다. 엔비디아에 도전하기 위해 필요한 기술개발에서 어떤 기업이 중심적인 역할을 해낼지는 분명치 않다. 엔비디아는 첨단AI 엑셀레이터에서 압도적인 리더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손 회장과 오픈AI 샘 올트먼 최고경영자(CEO)는 반도체제조에서 손을 잡고 자금을 조달하는데에 대해 대화를 나눈 사실이 있지만 이자나기는 현시점에서 올트먼 CEO의 야망과는 별개의 사안이라고 소식통은 설명했다.
-
- IT/바이오
-
손정의 SBG 회장, 1천억 달러 규모 AI반도체 벤처 펀드 조성 계획
-
-
엔비디아, 생성AI 처리 70% 고속화한 반도체 개발 공개
- 미국 반도체 대기업인 엔비디아는 8일(현지시간) 생성 인공지능(AI) 처리를 최대 70% 고속화하는 반도체를 개발했다고 발표했다. 이날 로이터통신 등 외신들에 따르면 엔비디아가 개발해 이번에 내놓은 반도체는 PC에 탑재하는 화상처리반도체 '지포스 RTX40슈퍼' 시리즈다. 이 반도체는 엔비디아가 자랑하는 화상처리반도체(GPU)를 기반으로 AI의 처리성능을 더욱 높인다. 엔비디아는 이 반도체를 PC에 탑재하면 고도의 정밀한 화상과 음성을 이용하는 생성AI의 조작이 원활해진다소 설명했다. 따라서 AI를 사용한 소프트웨어의 개발과 활용이 쉬워지고 생성AI의 보급이 더 빨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문자로 지시하면 동영상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AI '스테이블 디퓨전'을 사용할 경우 상위기종에서는 화상에서 70%, 동영상에서 50% 등 기존모델과 비교해 빠르게 생성했다. 챗GPT 등 대화형 AI와 동영상 생성AI를 대량의 데이터를 취급하기 위해 지금까지 주로 대규모 데이터센터를 이용해 처리해왔다. AI반도체를 단말기기에도 탑재해 처리를 분산하고 작동 지연이 일어나기 어렵게 된다. 반도체 단일제품 뿐만 아니라 미국 델(Dell)과 HP 등 각 제조업체들이 노트PC에 탑재해 판매한다. 미국 라스베거스에서 열린 세계 최대 IT 박람회 CES 2024 개최에 맞춰 공개한 시연에서는 AI를 시용해 게임상의 3차원 캘릭터와 자연스럽게 대화하는 기술을 선보였다. CES 2024에서는 AI반도체 정상업체인 엔비디아 이외에 어드반스트 마이크로 디바이스(AMD), 인텔, 퀄컴 등 미국 반도체제조업체가 잇따라 PC 등 단말기에 탑재한 AI반도체를 발표해 치열한 경쟁을 벌였다, 이날 엔비디아는 이번 AI반도체 공개로 이날 6.4% 급등한 522.53달러로 사상최고치를 경신했다. 엔비디아는 지난해 주가가 3배이상 치솟았다.
-
- IT/바이오
-
엔비디아, 생성AI 처리 70% 고속화한 반도체 개발 공개
-
-
AI반도체 대장주 엔비디아, 수요급증에 파죽지세 성장세 지속
- 인공지능(AI) 반도체 '대장주' 엔비디아가 전 세계적인 AI 열풍 속에 관련 인프라를 구축하려는 기업들의 수요급증에 올해 3분기에도 파죽지세의 성장세를 이어갔다. 엔비디아는 22일 올해 회계년도 3분기에 매출 181억2000만 달러(약 23조3900만 원)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역대 최대 분기 매출로 전 분기 대비 34%, 지난해 동기 대비 206% 각각 증가했다. 데이터센터 관련 매출은 145억1000만 달러로 전 분기 대비 41%, 전년 동기 대비 279% 급등했다. 주당 순익은 4.02 달러로 집계됐다. 이는 당초 시장 전망치를 웃도는 실적이다. 팩트셋에 따르면, 월가 애널리스트들은 엔비디아가 회계년도 3분기에 조정 주당순익으로 3.37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매출 역시 예상치인 161억8000만 달러를 웃돌았다. 엔비디아는 올해 연이어 폭발적인 성장세를 이어왔다. 오픈AI의 인공지능 챗봇 '챗GPT' 공개 이후 전 세계적인 생성형 AI 열풍이 불어오며 컴퓨팅 인프라를 구축하려는 움직임이 거셌기 때문이다. 엔비디아는 전 세계 AI 반도체 시장점유율 80~90% 가량을 기록하고 있다. 이는 기업 가치에도 반영돼 올해에만 주가가 245% 급등했다. 금융정보업체 LSEG는 엔비디아가 회계년도 4분기에도 전년 대비 200% 수준의 매출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했다. 외신들은 엔비디아가 현재 만성적으로 약 20%의 초과 수요 현상을 보이고 있으며, 내년까지 주문도 대부분 확보한 상황이라고 보도했다. 이에 따라 생산능력과 속도의 확보가 곧 추가 성장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분석이다. 이날 엔비디아는 일각에서 제기된 최근 미중 무역갈등으로 인한 수출 제한으로 인해 성장세가 꺾일 수 있다는 전망을 반박했다. 엔비디아는 주주서한을 통해 "올해 4분기 (미국의) 중국 수출 제한으로 인해 해당 지역의 매출이 크게 감소할 것으로 예상한다"면서도 "이러한 감소폭은 다른 지역에서의 강한 성장세로 상쇄하거나, 그 이상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
- IT/바이오
-
AI반도체 대장주 엔비디아, 수요급증에 파죽지세 성장세 지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