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
-
도요타 미국내 가솔린차 증산위해 5억 달러 투자
- 일본 도요타자동차는 21일(현지시간) 도요타 툰드라 픽업트럭과 세쿼이아 SUV를 생산하는 미국 텍사스 공장에 모두 5억3170만달러(7250억원)를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날 로이터통신 등 외신들에 따르면 도요타 북미부문은 도요타 툰드라 픽업트럭과 세쿼이아 SUV를 생산하는 텍사스 공장에 이같은 규모의 투자를 할 계획이라고 밝표했다. 도요타는 수요 증가추세가 정체된 EV 대신 마진 확보가 보다 나은 하이브리드 및 가솔린 구동 차량에 대한 투자에 다시 집중하고 있다. 도요타는 새 공장을 짓고 411개의 일자리를 추가하며 텍사스주 샌안토니오에 있는 기존 공장을 확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도요타는 2003년부터 샌안토니오 공장에 42억 달러를 투자해 2006년부터 생산을 시작했으며 현재 이 공장에 3700명 이상의 직원을 고용하고 있다. 한편 닛산 자동차는 미국에서 EV 라인업을 5개 차량으로 확장하는 동시에 배터리 구동 세단 모델의 개발은 중단하고 SUV의 출시를 서둘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 시장용 라인업에는 배터리 구동식 크로스오버 SUV도 포함된다. 크로스오버 SUV 및 픽업트럭은 미국인들이 세단 및 기타 형태보다 선호하는 차량형태이다. 회사는 또 미시시피주 캔톤 공장이 차세대 차량 제조를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
- 산업
-
도요타 미국내 가솔린차 증산위해 5억 달러 투자
-
-
테슬라, 중국 저가EV 공세 대응 제조공정 전면 개편
- 테슬라가 중국의 저가 전기차 총공세에 대응해 100년 넘게 이어져온 ‘포드식’방식을 버리고 새로운 제조공정을 도입할 방침이다. 1일 연합뉴스는 지난 28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을 인용해 테슬라가 제조공정을 개편해 저가형 전기차를 양산할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테슬라는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 순서대로 부품을 조립하던 기존 방식을 바꾸기로 한 것이다. 테슬라는 포드가 처음으로 시작해 100년 넘게 미국 완성차 업체들이 따라왔던 방식에서 벗어나 주요 부품을 한 곳에서 동시에 조립하는 '언박스드' 공정을 채택해 원가를 절감하겠다는 계획이다. 뼈대를 따로 제조하지 않은 채 6개 모듈을 제작한 뒤 한꺼번에 조립하는 식으로 레고 조각을 한데 모아 조립하는 것과 유사한 방식이다. 차체를 이리저리 옮기지 않고 한 자리에서 엔진 등 주요 부품을 조립할 것으로 보인다. 해당 공정으로 생산 시간을 대폭 줄이고, 또 일직선으로 배치된 컨베이어 벨트를 제거해 공장의 유휴 공간도 늘어나게 된다. 사측은 이를 통해 생산 비용을 이전보다 절반 가량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테슬라는 대당 2만5000 달러(약 3368만원)짜리 전기차를 양산해 중국의 저가 공세에 맞선다는 방침이다. 테슬라는 2030년까지 연 2000만 대를 인도하겠다는 목표를 내세우고 있다. 테슬라는 지난해 4분기 중국 전기차 제조 회사 비야디(BYD)에 세계 전기차 판매량 1위 자리를 내줬다. 비야디는 올 2월 7만9800위안(약 1477만원)짜리 전기차를 출시하며 가격 경쟁에 불을 지핀 데 이어 '디스트로이어 07' 하이브리드 신형을 출시하면서 시작가를 구형보다 11.3% 낮췄다. 하이브리드와 플러그인하이브리드(PHEV)를 포함해 BYD의 10만위안(약 1800만원) 이하 모델은 5종에 달한다. 여기에 샤오미도 최근 테슬라의 보급형 모델3 세단보다 훨씬 저렴한 가격에 전기차를 내놓으며 경쟁에 불을 지폈다.
-
- 산업
-
테슬라, 중국 저가EV 공세 대응 제조공정 전면 개편
-
-
샤오미, 자체개발 4년만에 첫 EV 출시⋯테슬라보다 3만달러나 저가
- 스마트폰 등을 생산하는 중국 샤오미(小米)는 28일(현지시간) 전기자동차(EV) 개발에 나선지 4년만에 첫EV를 생산해 출시했다. 로이터통신 등 외신들에 따르면 샤오미는 이날 저녁 7시(현지시각) 자사가 생산한 전기차 SU7의 정식 출시 행사를 열고 판매에 돌입했다. 행사는 중국 소셜미디어와 유튜브 등을 통해 생중계됐다. 샤오미는 이에 앞서 지난 25일부터 중국 29개 도시, 76개 매장에서 SU7을 전시하고 있다. 중국 매체들은 사흘 동안 샤오미 전시장을 찾은 관람객이 하루 평균 10만명이 넘는다고 전했다. 레이쥔(雷軍) 샤오미 회장은 이 자리에서 고급스포츠카 포르쉐와 유사한 디자인의 SU7을 출시하면서 판매전략을 설명했다. 레이쥔 회장은 SU7 성능이 테슬라와 포르쉐를 능가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날 수주주문을 받기 시작했으며 30분이내에 5만건의 주문이 들어왔다고 덧붙였다. SU7은 ▲베이직(표준) ▲프로▲ 맥스 총 3가지 버전으로 출시된다. 베이직 버전은 21만5900위안(약 4016만원), 프로 버전은 24만5900위안(약 4600만원), 맥스 버전은 29만9900위안(5600만원)이다. 베이직 버전 가격은 미국 테슬라의 주력 세단인 ‘모델3’의 24만5900위안보다 3만 위안(약 557만원)이나 싼 가격이다. 베이직 버전과 맥스 버전은 다음달 말부터, 프로 버전은 5월 말부터 공식 인도가 시작된다. SU7은 기본형인 베이직 버전의 경우 완충 시 최대 700km까지 주행할 수 있고, 15분 충전 시 350km를 달릴 수 있다. 속도가 0에서 100km까지 도달하는 속도인 제로백은 5.28초이고, 시간당 최고 속도는 210km다. 최고 사양의 맥스 버전은 완충시 최대 주행 거리가 830km에 달하고, 제로백은 2.78초, 최고 속도는 시간당 265km다. 샤오미는 베이직, 프로 버전의 경쟁 모델로 테슬라의 모델 3를 내세웠고, 맥스 버전은 포르쉐의 타이칸 터보의 대항마로 소개했다. 최저 가격이 21만5900위안으로 책정되자 중국 자동차 업계는 샤오미가 고가 논란을 해소했다는 평가를 내놓고 있다. 가격 공개 전부터 샤오미 측은 "저렴하게 내놓긴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했고, 이에 시장에서는 25만위안 안팎에서 가격이 결정될 것으로 봤다. 한 업계 관계자는 "샤오미 팬들이 '포르쉐미(米·포르쉐와 샤오미의 합성어)'를 합리적 가격에 구매할 수 있게 됐을 뿐만 아니라, (프로와 맥스 등 버전을 통해) 제품 경쟁력이 강화돼 중·고급 시장에서도 이름을 알릴 수 있게 됐다"고 분석했다.
-
- 산업
-
샤오미, 자체개발 4년만에 첫 EV 출시⋯테슬라보다 3만달러나 저가
-
-
현대차 야심작 '아이오닉9' 시험생산 돌입
- 현대차가 올 하반기 출시 예정인 대형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아이오닉9' 시험 생산을 시작했다. 시장에 공개되는 시점은 올 여름으로 본격적인 양산은 10월께로 예상된다. 대형 SUV로 경쟁력이 뛰어나다는 평가로 출시 이후 기아 EV9과 대형 전기 SUV 시장에서 양강 구도를 형성할 수 있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는 전날(14일) 충남 아산공장에서 아이오닉9 시험 생산에 나섰다. 양산을 앞두고 새로 지은 생산라인을 점검하고, 생산직원을 교육하려는 차원이다. 실제 이 차량은 EV9이나 현대차의 기존 대형 SUV 팰리세이드 등보다 차체가 더 큰 것으로 알려졌다. 아이오닉9은 현대차가 2021년 11월 미국 LA오토쇼에서 공개한 콘셉트카 '세븐'을 바탕으로 설계했다. 중형 전기 SUV인 아이오닉5, 중형 전기 세단 아이오닉6에 이어 현대차그룹이 세번째로 전기차 전용 플랫폼인 E-GMP를 기반으로 개발한 차량이다. 당초 차명이 아이오닉7으로 알려졌지만, 대형 SUV라는 점을 강조하기 위해 아이오닉9으로 정했다는 후문이다. 시험 생산을 거쳐 본격적인 양산은 오는 10월께 진행할 예정이다. 공식 출시도 양산과 비슷한 시기에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현대차는 아이오닉9을 올 하반기 출시하기 위해 지난해 12월 31일부터 지난달 13일까지 아산공장 가동을 멈추고, 약 6주간 생산라인을 정비했다. 아산공장은 기존에 혼류 방식으로 쏘나타, 그랜저, 아이오닉6를 생산했지만, 이 공사로 아이오닉9을 생산 라인업에 추가했다. 아이오닉9이 출시되면 EV9과 함께 국내 대형 전기 SUV 시장은 더 경쟁이 치열해질 전망이다. 현재 국내에서 팔리는 6~7인승 대형 전기 SUV는 EV9 외에 테슬라 모델X와 메르세데스-벤츠 EQS SUV 등 단 2종뿐이다. 이중 모델X는 1억3000만원 이상, EQS SUV는 1억8000만원 이상으로 워낙 비싸 수요가 적은 편이다. 아이오닉9은 미국과 유럽 등에서도 수요가 몰릴 수 있다. 실제 EV9은 올해 1~2월 미국과 유럽에서 각각 2726대, 1296대 팔리며 국내 판매량(926대)을 훌쩍 넘었다.
-
- 산업
-
현대차 야심작 '아이오닉9' 시험생산 돌입
-
-
중국 BYD, 일본시장 개척 위해 2~3년내 신형EV 출시
- 중국 전기자동차(EV)업체 비야디(BYD)는 1일(현지시간) 일본시장에서 2025년, 2026년에 각각 한 종류 이상의 신형EV를 출시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날 로이터통신 등 외신들에 따르면 BYD는 지난해 진출한 일본의 승용차시장에 신형모델을 계속 투입해 시장개척을 속도를 낼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BYD는 내년말까지 일본에서 영업점 100곳을 운영할 예정이며 현재는 오픈을 준비하는 영업점을 포함해 51곳까지 확대하고 있다. BYD는 지난해 EV 전세계 판매실적에서 미국 테슬라를 누르고 1위 자리에 올랐다. BYD 아시아태평양 대표이며 비야디재팬시장인 류수에량(劉学亮)은 "탈탄소화를 추진하는 하나의 수단으로서 EV가 보급되는 이 흐름은 바뀌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일본소비자가 EV를 거부하지 않고 (BYD)의 전체 모델에서 선택하게 될 것"이라며 판매를 늘릴 방침을 나타냈다. 하지만 앞으로 투입될 차량 모델에 대해서 구체적인 내용 설명을 회피했다. 일본에서는 지난해 1월에 중형 스포츠유틸리티(SUV) '아토(ATTO)3'를 ,지난해 9월에는 소형차 '돌핀(海豚)'을 출시했다. BYD의 지난해 승용차 판매실적은 1446대(2022년에는 11대)를 기록했다. BYD는 일부 개량한 아토3를 지난 1일 발매했다, 아토3와 돌핀의 판매강화를 우선하는 전략 변화에 따라 지난해 공개 예정이었던 고급세단 '씰' 출시를 올해 중반으로 연기했다. 당초 올해까지 일본에서 연간 2만대 정도의 판매를 목표로 하고 있었지만 현재는 판매목표를 발표하지 않고 있다. 돌핀은 올해 3월까지 1100대의 판매를 목표로 내세우고 있지만 일본에서의 승용차 판매회사 BYD재팬의 토후쿠지 아츠키(東福寺厚樹) 사장은 "유감이지만 여전히 (목표에는) 미칠 것 같지도 않다는 것이 솔직한 상황"이라면서 "형식지정 취득이 늦춰지고 많은 차량을 동시기에 일본 전국에 공급할 수 없는 상태가 지속되고 있는 점도 목표미달의 주요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
- 산업
-
중국 BYD, 일본시장 개척 위해 2~3년내 신형EV 출시
-
-
중국 비야디, 페라리 등 슈퍼카 대항 3억원 최고급EV '양왕U9' 출시
- 중국 전기차업체 비야디(BYD)는 25일(현지시간) 168만 위안(약 3억1000만 원)의 최고급 전기자동차(EV)를 내놓았다. 이날 로이터통신 등 외신들에 따르면 BYD는 중국 상하이(上海)에서 개최된 인터넷행사에서 페라리와 람보르기나의 가솔린엔진 슈퍼카에 대항하기 위해 고성능 EV슈퍼카 '양왕(仰望)U9'을 출시했다. BYD는 양왕U9는 2.36초만에 시속 100Km에 도달하며 최고속도는 시속 309.19Km에 달한다고 밝혔다. 또한 중국 전기차 주행거리 기준인 NEDC에 따라 1회 충전으로 최대 700km 주행이 가능하다. U9의 가장 특별한 점은 신규 차체 제어 시스템 'DiSus-X'로 차체가 위아래, 좌우, 앞뒤로 움직이는 방식을 적용했다는 것이다. 이 서스펜션은 인텔리전트 댐핑 바디 컨트롤, 인텔리전트 하이드롤릭 바디 컨트롤, 인텔리전트 에어 바디 컨트롤로 구성되어 수직이나 수평 이동, 혹은 종방향 이동이 가능하며 코너 주행 시 한 쪽 바퀴 없이 세 바퀴로 달릴 수도 있다. 양왕U9는 중국 내수용으로 판매될 예정이다. BYD는 지난해 4분기(2023년10~12월)에 EV 판매에서 미국 테슬라를 넘어서 전세계 1위업체로 부상했다. BYD는 값싼 EV 제조업체로 알려졌지만 고급모델로 양왕과 팡청바오(方程豹)를 선보였다. 중국에서는 춘제(春節) 후 가격경쟁에 직면하고 있지만 BYD는 수익성이 높은 고급차량에 대한 수요가 여전히 강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BYD는 약 100만 위안의 고급세단을 포함해 양왕 브랜드의 다른 고급EV를 연내에 중국에 투입할 방침이다.
-
- 산업
-
중국 비야디, 페라리 등 슈퍼카 대항 3억원 최고급EV '양왕U9' 출시
-
-
일본 혼다, 차세대 EV '제로시리즈' 2026년부터 발매
- 일본 혼다는 10일(현지시간) 높은 전기성능 등을 갖춘 차세대 전기자동차(EV) 시리즈를 2026년부터 발매한다고 발표했다. 이날 연합뉴스가 전한 로이터통신 등 외신들에 따르면 혼다는 미국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세계최대 IT전시회 'CES 2024'에서 새로운 EV '혼다 제로(0)시리즈' 첫번째 모델을 북미시장을 시작으로 일본, 아시아, 유럽 등 전세계에 투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혼다의 제로시리즈에서는 EV전용의 차대를 사용해 차량 높이를 낮추고 높은 공기역학 성능을 갖추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전기변환 효율과 경량의 전지배터리를 장착해 약 482Km의 주행거리를 목표로 하고 있다. 배터리는 15~80% 급속충전시간을 10~15분 정도로 단축하고 사용개시부터 10년후 배터리 성능 저하를 10% 이하로 줄일 방침이다. 혼다는 독자의 차량 OS(소프트웨어)를 축으로 하는 커넥티드기술을 탑재해 인공지능(AI)와 빅데이터를 활용해 음악 등 사용자의 기호와 운행중 행동경향을 차량이 학습해 다양한 제안도 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혼다는 '0 시리즈'는 전기차 라인업을 다시 시작한다는 의미라면서 세 가지 핵심 원칙인 "얇고(Thin), 가볍고(Light), 현명한(Wise)"에 맞춰 개발중이라고 밝혔다. 혼다는 2040년까지 신차판매 전부를 EV와 연료전치차(FCV)로 한다는 목표를 내걸었으며 2030년까지 30종류의 EV를 전세계에 투입하고 연간 200만대 이상을 생산할 예정이다. 그러나 혼다 제로시리즈만의 판매계획과 투입모델 수 등 구체적인 내용을 공개하지 않았다. 혼다는 이 자리에서 2대의 컨셉트차량도 이날 처음 공개했다. 4~5인승 세단타입의 '살룬(Saloon)'과 6~7인승 미니밴과 같은 '스페이스 허브(Space-Hub)'다. 설룬은 스포츠카처럼 날렵한 외관으로 양쪽 문은 테슬라의 모델X와 같이 날개 모양으로 열고 닫히는 게 특징이다. 혼다는 0 시리즈가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을 갖출 예정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이후 차세대 자율 주행(AD·Automated driving) 시스템을 탑재한다고 덧붙였다. 새로운 0 시리즈 EV에는 혼다의 새로운 'H' 로고도 장착된다. 혼다는 차세대 AD 시스템은 '인간 중심' 안전 개념을 바탕으로 개발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
- 산업
-
일본 혼다, 차세대 EV '제로시리즈' 2026년부터 발매
-
-
중국 비야디, 지난해 전세계 판매대수 62% 급증⋯300만대 돌파
- 중국 전기자동차 제조업체 비야디(BYD)는 1일(현지시간) 지난해 전세계 판매대수가 전년과 비교해 62% 늘어난 302만4417대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이날 닛케이(日本經濟新聞) 등 외신들에 따르면 BYD는 지난해 저렴한 전기자동차(EV)와 세단모델 등을 투입해 판매 목표인 300만대를 초과 달성했다. BYD는 2022년 3월 내연기관차 생산을 전면 중단하고 EV와 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PHV)만을 판매한다. 주력 승용차에서는 EV가 73% 늘어난 157만대, PHV가 52% 증가한 143만대였다. 전체적으로는 스즈키의 2022년도 판매대수(296만대)와 비슷한 규모까지 커졌다. 주력시장인 중국시장은 EV 등 신에너지차량의 수요가 확대하고 있다. BYD는 지난해에 저가격의 소형 EV '하오오(海鴎, 시갈)'와 EV∙PHV 세단 '하오바오(海豹, 씰)' 등을 투입했다. 타이 등 동남아와 유럽으로 수출도 늘어나 2022년7월부터 실적을 발표하기 시작한 해외판매른 24만대 이상, 해외판매 비율은 8%를 기록했다. 2022년에 테슬라를 추월하여 세계 신에너지차 판매 1위에 오른 비야디는 같은 해 3분기에 총이익률에서도 테슬라를 능가했다. 비야디의 3분기 순이익은 104억 1300만 위안(약 1조 900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2.2% 증가했으며 총이익률은 22.1%에 달했다. 이에 반해 테슬라의 총이익률은 17.9%에 머물렀다. 비야디는 2022년 하반기 독일, 노르웨이, 스웨덴 등에 대리점을 개설하했다. 2023년 12월 헝가리에 전기차 조립공장 건설 계획을 발표하며 유럽 시장 진출을 가속화하고 있다. 헝가리에서 이미 전기버스 공장을 가동 중인 BYD는 2030년까지 유럽 전기차 시장의 10%를 차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일본에서도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EV 아토3(Atto3, 위안플러스∙元PLUS)와 소형EV 하이툰(海豚, 돌핀)을 판매하고 있다. 중국자동차공업협회는 올해 중국신차판매(수출 포함)를 지난해와 비교해 3% 늘어난 약 3100만대로 예측하고 있다. 중국시장은 성장둔화가 예상되며 수출이 15% 증가한 약 55만대가 될 것으로 전망한다. BYD의 성장유지에는 해외판매를 어느 정도 늘릴까가 중요한 요인으로 꼽힌다.
-
- 산업
-
중국 비야디, 지난해 전세계 판매대수 62% 급증⋯300만대 돌파
-
-
중국 스마트폰 업체 샤오미, 첫 전기차 SU7 공개
- 중국 스마트폰 제조업체 샤오미(小米)가 28일(현지시간) 자사가 개발한 첫 전기차(EV)를 공개하면서 세계 5대 자동차 업체로의 도약을 선언했다. 로이터통신 등 외신들에 따르면 샤오미는 '초고속(speed ultra)'의 이니셜을 사용한 EV 세단 SU7다. 샤오미 최고경영자(CEO)인 레이쥔(雷軍) 회장이 테슬라나 포르쉐 EV보다 빠른 가속도를 발휘하는 '슈퍼 전기 모터' 기술을 적용했다고 설명했다. 샤오미의 스마트폰 기본소프트(OS)를 최대한 활용할 예정이며 샤오미의 모바일앱을 이용할 수 있다. 중국의 자동차시장은 생산능력의 과잉과 수요둔화로 격렬한 가격경쟁이 벌어지고 있다. 하지만 레이 회장은 이날 공개행사에서 "앞으로 15~20년간 총력을 기울여 세계 5대 자동차 기업으로 도약, 중국의 자동차 산업 전반을 업그레이드하는 데 보탬이 될 것"이라며 "이 계획에는 포르쉐와 테슬라에 견줄 만한 드림카를 만드는 구상도 포함된다"고 밝혔다. 샤오미 브랜드 차량은 중국 자동차 제조업체 베이징자동차그룹(BAIC) 계열사가 베이징(北京)공장에서 생산된다. 연간생산능력은 20만대에 이른다. 샤오미의 SU7은 후륜구동 기본형과 사륜구동 맥스(Max) 등 두 가지 버전으로 출시될 예정이다. 기본형은 한 번 충전에 최대 668km, 맥스는 최대 800km를 주행할 수 있다. 테슬라의 모델S의 주행거리는 최대 650Km다. SU7의 가격은 공개되지 않았으나 수개월내에 발매될 가능성이 높다. 중국 상해의 조사회사 오토모빌리티의 빌 루소 CEO는 "샤오미는 성공한 가전브랜드이며 팬이 많다"면서 "자동차는 스마트기기가 되고 있으며 샤오미에게 큰 호기가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중국이 사상 최고로 추운 12월을 맞은 가운데 샤오미가 전격적으로 SU7 공개행사를 개최한 것도 겨울나기를 걱정하는 EV 운전자들에게 어필하려는 의도도 깔려 있다는 것이 업계의 관측이다. 중국 제5위의 스마트폰 제조업체인 샤오미는 스마트폰 수요가 정체되는 가운데 사업 다각화 차원에서 2021년 3월 처음으로 EV 시장 진출을 선언했다. 샤오미 외에 EV 개발을 위해 자동차 회사들과 파트너십을 맺은 다른 중국 기술 회사들로는 통신 대기업 화웨이(華爲)와 검색엔진 업체 바이두(百度·Baidu)가 있다.
-
- IT/바이오
-
중국 스마트폰 업체 샤오미, 첫 전기차 SU7 공개
-
-
혼다, 덴소 연료펌프 결함으로 미국내 260만대 리콜
- 일본 자동차회사 혼다는 21일(현지시간) 자동차 부품업체 덴소의 연료펌프가 장착된 미국 내 차량 약 260만 대를 리콜한다고 밝혔다. 로이터통신 등 외신들에 따르면 혼다는 이날 덴소의 연료펌프 결함이 있어 주행중에 엔진고장을 일으킬 우려가 있어 이같이 리콜조치한다고 말했다. 혼다는 엔진펌프 결함으로 인한 사고 보고는 현재까지 없다고 덧붙였다. 덴소가 제작한 연료펌프에 대해서는 내부 임펠러가 변형돼 연료를 보낼 수 없게 된 탓에 엔진 고장을 일으킬 수 있다며 일본 내에서도 자동차 업체들의 리콜이 잇따르고 있다. 혼다는 덴소제 연료펌프와 관련된 리콜은 이번을 포함해 지금까지 전세계에서 약 450만 대를 넘어섰다고 지적했다. 혼다의 미국 리콜은 2017-2020년 사이 제작된 모델이 포함되어 있다. 혼다 브랜드 어코드 세단과 CR-V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등 11개 모델과 미국 럭셔리 브랜드 아큐라 MDX, NSX 등 6개 모델이다. 혼다는 내년 2월 고객들에게 이 사실을 알리고 순차적으로 부품을 교체할 예정이다. 일본 자동차 메이커 관계자는 덴소 연료펌프와 관련된 각사의 리콜에 대해 "교체 부품 공급이 한정돼 있고 향후 리콜 규모가 커질 경우 언제 이루어질지 알 수 없다"고 언급했다.
-
- 산업
-
혼다, 덴소 연료펌프 결함으로 미국내 260만대 리콜
-
-
도요타, 에어백 작동 불량 위험으로 전세계 112만대 리콜
- 도요타 자동차가 20일(현지시간) 센서 문제에 따른 에어백 미작동 위험으로 전세계에서 차량 112만대를 리콜한다고 밝혔다. 이날 로이터통신 등 외신들에 따르면 리콜 대상은 2020년부터 2022년형으로 모델은 아발론, 캠리, 코롤라, 라브4, 렉서스 ES250, ES300H, ES350, RX350 하이랜더 및 시에나 하이브리드 차량이 포함됐다. 도요타는 탑승자 분류 시스템(OCS) 센서가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며 미국에서 100만대를 리콜한다. OCS 센서는 작은 성인이나 어린이가 앞좌석에 앉을 경우 에어백이 터지지 않도록 기능한다. 문제의 센서는 전기합선 가능성이 높고 이 때문애 에어백 시스템이 승객의 정확한 체중이나 관련 정보를 파악하지 못해 충돌시에 제대로 정확한 대응을 할 수 없게 만들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이번 리콜로 미국 딜러샵에서는 센서를 검사하고 필요한 경우 교체할 예정이다. 도요타는 내년 2월 소유자에게 리콜에 대해 통보하기 시작할 계획이다. 지난해 7월에도 도요타는 미국에서 3500대의 라브4 차량를 리콜했는데 내부 부품 간 간섭으로 인해 OCS 센서가 탑승자를 잘못 감지할 수 있는 위험에 따른 조치였다.
-
- 산업
-
도요타, 에어백 작동 불량 위험으로 전세계 112만대 리콜
-
-
현대차 싼타페‧기아 쏘렌토, 2025년부터 가솔린 엔진 생산 중단
- 현대자동차 싼타페와 기아 쏘렌토가 2025년부터 가솔린 엔진 생산을 중단한다 베트남 매체 BHT는 11일(현지시간) 현대차그룹은 차세대 싼타페 페이스리프트 모델과 기아 쏘렌토 페이스리프트 모델을 출시할 예정으로 글로벌 SUV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며 이같이 보도했다. 이 매체는 한국 자동차 제조업체는 유럽연합(EU)의 '유로 7(Euro 7)' 배기가스 규제를 충족하기 위해 유럽에서 향후 라인업에서 하이브리드 또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PHEV)옵션만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고 전했다. 현대자동차는 유럽에서 최초로 하이브리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의 배출가스 인증을 획득했다. 이미 한국에서 판매 중인 차세대 싼타페는 가솔린, 터보차저, 가솔린, 하이브리드 등 다양한 파워트레인이 탑재됐으며, 최근 출시된 업그레이드형 쏘렌토에는 싼타페와 디젤 등 엔진 옵션도 탑재됐다. 현재 일부 해외 시장에서는 두 모델 모두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과 함께 제공된다. 현대차그룹은 세단보다 배기가스가 많은 SUV를 시작으로 전동화에 박차를 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싼타페와 쏘렌토를 시작으로 하이브리드가 기본으로 제공될 것으로 예상된다. 엘란트라(Elantra)와 그랜저(Grandeur)를 포함한 세단은 전기화될 다음 모델이 될 것이다. 현대차그룹이 전동화를 서두르는 이유는 EU 집행위원회가 2025년 7월까지 유로7 규제를 시행하겠다고 기한을 정해 자동차 배기가스 기준을 대폭 강화했기 때문이다. 앞서 유럽연합(EU)은 2021년 11월 새로운 자동차 배기가스 규제인 유로 7을 발표했다. 유로 7은 2025년 7월부터 신차에 적용될 예정이다. 유로 7은 이전 규제인 유로 6에 비해 배출 기준을 크게 강화했다. 유로 7은 내연기관차의 배출가스를 크게 줄여 대기오염을 개선하고, 전기차로의 전환을 촉진하기 위한 목적으로 마련됐다. 그러나 유로 7의 강화된 기준은 자동차 제조업체들에게 기술적 부담을 가중시켜 비용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유로 7은 승용차 및 승합차의 질소산화물(NOx) 배출량을 35%, 입자상 물질(PM) 배출량을 13% 줄였다. 또한, 브레이크 및 타이어에서 나오는 입자상 물질 배출량을 27% 줄였다. 유로 7의 주요 내용은 △ 승용차 및 승합차의 NOx 배출량을 1g/km 이하로 제한, △ 승용차 및 승합차의 PM 배출량을 0.005g/km 이하로 제한, △ 브레이크 및 타이어에서 나오는 PM 배출량을 0.01g/km 이하로 제한, △ 배출가스 측정 시의 가혹조건을 적용, △ 차량 배터리 내구성을 강화한다 등이다. 유로 7은 2025년부터 시행될 예정이지만, 현재 유럽 내 일부 국가에서는 규제의 현실성 부족을 이유로 완화 또는 폐지를 요구하고 있다. EU 집행위원회는 이러한 요구를 수렴하여 규제의 일부 내용을 완화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
- 산업
-
현대차 싼타페‧기아 쏘렌토, 2025년부터 가솔린 엔진 생산 중단
-
-
현대차, BAIC 합작투자로 중국서 아크폭스 전기차 생산
- 현대자동차가 중국 베이징자동차그룹(BAIC)과 합작투자로 중국에서 아크폭스(Arcfox)의 전기차를 생산한다. 미국 자동차 전문 매체 카스쿱스(CARSCOOPS)는 12일(현지시간) 현대자동차는 중국에서 입지를 넓힐 수 있는 모든 방법을 모색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이같이 보도했다. 카스쿱스에 따르면 현대차는 처음으로 외부 브랜드와 계약을 맺고 차량을 생산할 예정으로, BAIC과 중국 전기차 업체 아크폭스 브랜드용 전기차를 생산하기로 합의했다. 이 브랜드의 차량은 베이징 현대자동차에서 생산될 예정이다. 베이징 현대자동차는 2002년 중국 베이징시에 설립된 중국 기업 BAIC 모터와 현대차의 합작 기업이다. 생산은 중국 충칭에 있는 이 회사의 시설에서 담당할 예정이며, 베이징 현대자동차는 차량의 설계와 품질 관리도 감독할 것으로 알려졌다. BAIC 그룹의 자회사인 아크폭스는 베이징에 본사를 둔 중국의 전기 승용차 및 크로스오버 브랜드로 2017년부터 운영되고 있다. 전기차 생산라인 구축해 중국 재공략 이번 계약은 현대자동차가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중국 시장에서의 입지를 넓히기 위한 중요한 조치로 간주된다. 한때 현대차는 중국 전체 신차 판매량의 7%를 차지했지만, 작년에는 25만 4000대를 판매해 시장 점유율이 1% 미만으로 떨어졌다. 현대차는 2022년까지 중국에서 5억 9800만 달러(약 8072억원)의 영업 손실을 기록했다. 한 소식통은 "이번 협력은 현대차가 아직 중국 시장을 포기하지 않았음을 시사한다"며 "현대차는 전기차 생산라인을 마련해 중국 시장 확장을 위한 교두보를 다시 구축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현대차가 합작 공장에서 어떤 아크폭스 모델을 생산하는 지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그중 하나는 아마도 세련된 알파-S 세단이 될 것이라는 추측이 나오고 있다. 이 차는 2021년에 처음 출시되었으며 화웨이 기술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아크폭스는 알파-S 외에 알파-T SUV와 가장 최근에는 자녀를 둔 젊은 여성을 위한 MPV로 고안된 알파 카올라(Kaola)를 포함한 다양한 차량을 선보이고 있다. 철자가 특이한 '카올라(Kaola)'는 올해 초 생산에 들어갔으며 곧 인도가 시작될 예정이다. 모든 버전은 163마력을 내는 앞 차축의 단일 전기 모터로 구동되며, 전원은 CATL의 58.86kWh 배터리 팩에서 공급된다. 현대차는 아이오닉 모델을 중국에 출시할 계획이었으나 현지 경쟁업체와 경쟁이 어려울 것으로 판단해 출시하지 않기로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
- 산업
-
현대차, BAIC 합작투자로 중국서 아크폭스 전기차 생산
-
-
전기차 시장, '전고체 배터리'가 뜬다…10대 리드 기업 어디?
- 최근 전기차 업계가 주목하는 기술 중 하나는 '전고체 배터리'다. 이 기술은 기존 리튬 이온 배터리보다 에너지 저장 용량이 뛰어나고, 충전 시간도 단축되는 등 탁월한 성능을 자랑한다. 그렇다면 이 전고체 배터리는 기존 배터리와 다른 점은 무엇일까. 전고체 배터리는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액체 전해질이 아닌 고체 전극과 고체 전해질을 사용한다. 이로 인해 배터리의 누출이나 열 문제가 크게 줄어들어 사용자의 안전을 더욱 보장한다. 게다가 작은 크기로도 높은 에너지 밀도를 구현할 수 있어 휴대성과 효율성 모두에서 높은 점수를 받는다. 시장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글로벌 자동차 기업들도 전고체배터리 개발에 발빠르게 뛰어들었다. 토요타와 폭스바겐은 이미 전고체 배터리 기술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러한 대기업들이 전고체 배터리의 선봉에 서게 될 것인가, 아니면 다른 참여 기업들이 이를 따라잡거나 앞질러 나갈 것인가. 전기차 시장의 미래는 어떻게 전개될지 기대된다. 폭스바겐과 퀀텀스케이프는 전기 자동차용 고체 상태 배터리 기술 개발에 손을 잡았다. 전기차의 두 가지 큰 걸림돌인 '주행 거리'와 '충전 시간'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향상된 '에너지 저장 능력'과 '빠른 충전'이 선결과제다. 이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는 전고체 배터리는 소비자의 전기차에 대한 인식을 크게 바꿔놓을 것으로 보인다. 전고체 배터리 개발 진행중인 선도적인 10개 기업은 다음과 같다. 1. 도요타 토요타는 21세기 자동차 혁신의 핵심으로 전고체 배터리를 지목하며, 2027년까지 상용화를 목표로 연구개발을 가속화하고 있다. 도요타의 이러한 움직임은, 배터리가 전기차 업계의 핵심 부품임을 감안하면, 전기차 시장에서의 선두 주자로의 복귀를 알리는 신호로 해석된다. 그들은 이미 2012년부터 전고체 배터리 기술 개발에 뛰어들었고, 현재 200명 이상의 전문가로 구성된 팀이 이를 주도하고 있다. 그 결과, 토요타는 1000개 이상의 특허를 보유하게 되었다. 이 기업의 최종 목표는 전고체 배터리의 장점을 살려 완충 상태에서 약 700km (435마일)의 주행 거리를 달성하는 전기차와 하이브리드 차량을 출시하는 것이다. 2. 폭스바겐(Volkswagen) 폭스바겐은 전고체 배터리 연구의 선구자 중 하나인 퀀텀스케이프와 파트너십을 맺고 전기 자동차용 고에너지 밀도 배터리를 개발하고 있다. 2018년 폭스바겐은 퀀텀스케이프와 함께 전기차용(EV) 배터리 기술 개발을 추진했고, 2020년 추가적으로 2억 달러의 투자를 통해 이 연구의 가속화를 선언했다. 퀀텀스케이프는 기존 배터리 대비 전고체 배터리가 약 80% 더 긴 주행 거리와 80% 더 많은 충전량을 제공한다고 주장했다. 2022년 말 현재, 퀀텀스케이프는 전고체 배터리 셀의 시험을 진행 중이다. 폭스바겐은 다른 기업들과 협업하여 고체 상태 기술 및 전극 건조 코팅 공정과 같은 다양한 배터리 기술을 연구 중이며, 이를 2030년에 대량 생산에 투입할 계획이다. 3. 파나소닉(Panasonic) 전세계적인 전기차 시장의 확대와 함께 배터리 기술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가운데, '파나소닉'과 '도요타'의 조합이 눈길을 끈다. 두 기업은 2020년 '프라임 플래닛 에너지 솔루션(Prime Planet Energy & Solutions, Inc.)'이라는 이름의 합작기업을 설립, 생산성과 용량 모두에서 우수한 배터리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도요타는 이미 전고체 배터리 기술 관련 1000개 이상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파나소닉도 445개의 특허로 그 기술력을 과시하고 있다. 파나소닉은 지난 수십 년 동안 배터리 기술을 선도해 왔다. 특히 전고체 배터리 기술 연구에 주력하며, 액체 전해질로 인한 화재, 폭발 위험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고체 상태 배터리로의 전환에 큰 희망을 걸고 있다. 파나소닉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일정을 제공하지는 않았지만, 연구 및 개발에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다. 특히 도요타, 테슬라, 포드와 같은 국제적인 자동차 기업들과의 협력은, 전고체 배터리의 시장 출시 때 그들이 이 분야의 혁신을 주도할 가능성을 제시한다. 4. 베이징 웨이란신에너지기술(Beijing WeLion New Energy Technology) 중국 기업 니오(Nio)는 배터리 제조업체인 중국 베이징 웨이란신에너지기술(北京卫蓝新能源科技·Beijing WeLion New Energy Technology, 이하 '웨이란'-WeLion)과 파트너십을 맺어 새로운 배터리 기술을 선보였다. 이들 두 기업은 전기 자동차에 대한 반고체 상태 배터리 셀을 생산했다. 반고체 상태 배터리는 리튬 이온 배터리의 젤 전해질과 고체 전해질을 결합한 것이다. 니오는 특히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웨이란으로부터 150 kWh 용량의 반고체 배터리 셀을 공급받게 되었으며, 이 배터리는 'Nio ET7' 전기자동차에 적용될 예정이다. 이러한 혁신적인 기술을 탑재한 세단 'Nio ET7'은 CLTC 기준으로 약 1000킬로미터(621 마일), EPA 기준으로는 740킬로미터(460 마일)의 높은 주행 거리를 자랑한다. 또한, 이 배터리는 'Nio ES6 SUV'에도 적용되어, 약 689킬로미터(428 마일)의 주행 거리를 제공하게 된다. 5. 중국 CATL(Amperex Technology Co. Limited) 중국 배터리 대기업 CATL은 2023년 4월 전기 항공기 전동화를 향한 새로운 움직임을 위해 고체 상태 배터리 기술의 한 형태인 압축형 배터리 셀을 출시했다. 이 배터리 셀은 에너지 밀도가 500 Wh/kg로 매우 높다. 중국의 배터리 대기업 'CATL'은 2023년 4월 전기 항공기의 전동화를 목표로 고채 상태 배터리 기술의 한 형태인 압축형 배터리 셀을 출시했다. 이번에 선보인 배터리 셀은 무려 500 Wh/kg의 높은 에너지 밀도를 자랑한다. 반면, 테슬라가 자랑하는 4680 배터리 셀의 에너지 밀도는 244 Wh/kg에 불과하다. 이를 비교하면 CATL의 신제품은 기존 리튬 이온 배터리에 비해 약 두 배의 충전량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렇게 혁신적인 배터리 기술은 중국 지리자동차(Geely)의 2023년 형 전기차 '지커-001(Zeekr-001 EV)'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해당 차량은 CLTC 기준으로 641 마일의 주행 거리를 달성할 수 있다. CATL의 압축형 배터리 셀은 이보다 훨씬 더 긴 주행 거리를 제공할 전망이다. 6. 혼다 혼다는 2050년까지 탄소 중립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제너럴 모터스(GM)와 소니 같은 기업들과 파트너십을 맺어 고체 상태 배터리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또한 혼다는 일본의 사쿠라에 4300억 엔 (약 2950만 달러)을 투자해 2028년까지 전기 자동차에 고체 상태 배터리 셀을 도입하는 생산 라인을 구축하는 작업을 진행 중이다. 고체 상태 배터리 기술의 가장 큰 단점은 세포의 무결성을 위협하는 덴드라이트(dendrites)의 존재다. 혼다는 덴드라이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이를 통해 2030년까지 연간 200만 대의 배터리 전기 자동차 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7. 닛산 닛산은 2028년까지 고체 상태 배터리로 구동되는 차량을 시장에 선보이기 위한 연구를 본격화했다. 가나가와에 위치한 닛산의 연구 센터에서는 2024년까지 고체 상태 셀 프로토타입을 생산하기 위한 공장 건립 작업이 진행 중이다. 고체 상태 배터리 기술 도입 후, 닛산은 EV 배터리 비용을 최소 50% 절감하며, 충전 능력을 현존하는 기술의 세 배로 향상시키고, 에너지 밀도를 두 배로 늘리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시장에서 현재 주목받는 최고 성능의 배터리 셀은 에너지 밀도 240 Wh/kg을 제공하는데, 닛산의 목표는 이를 480~500 Wh/kg로 높이는 것이다. 이외에도 닛산은 액체 전해질을 사용하지 않는 올 고체 상태 배터리와 나트륨을 활용한 셀에 대한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8. 솔리드에너지시스템(SolidEnergy Systems) 솔리드에너지시스템(SES)은 치차오 후 박사(Dr. Qichao Hu)가 2012년에 매사추세츠주 워본(Woburn)에 설립했다. 이 회사는 리튬 금속 기술을 사용하며, 리튬 이온 배터리 셀에서 발견되는 전통적인 젤 대신 분리 막으로 사용한다. SES 리튬 금속 배터리 셀은 에너지 밀도가 400 Wh/kg이며, 전통적인 리튬 이온 배터리 셀의 주행 거리를 두 배로 늘릴 수 있다. SES는 안전하고 효율적인 배터리 개발에 중점을 둔다. 인공 지능 알고리즘을 활용해 배터리의 안전성을 향상시켰고, 가볍고 비용 효율적으로 제작될 수 있다. 게다가 15분만에 배터리의 80%까지 빠르게 충전할 수 있다는 것은 큰 강점이다. 차량 제조업체들과의 협력도 활발한 편이다. 제너럴 모터스(GM), 혼다, 현대자동차, 지리, 기아와 같은 주요 자동차 기업들과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있다. 특히 2021년에는 GM이 SES에 1억 3900만 달러를 투자했으며, 2025년부터는 SES의 리튬 금속 배터리 셀을 자동차에 적용할 계획이다. 9. 솔리드 파워(Solid Power) 솔리드 파워는 2011년 콜로라도 대학의 스핀오프로 탄생했으며 현대자동차, BMW, 포드와 같은 글로벌 자동차 제조업체들의 후원을 받으며 빠르게 성장했다. 2021년에는 콜로라도 주의 손턴(Thornton)에 7만5000평방 피트(약 6967제곱미터) 규모의 최첨단 생산 공장을 설립했다. 솔리드 파워의 주요 기술은 전통적인 리튬 이온 배터리의 액체 전해질을 황화물 기반의 고체 전해질로 교체하는 것이다. 이 고체 전해질은 액체 전해질보다 안전하며, 안정적인 성능을 제공한다. 이 회사는 2028년까지 연간 80만 대의 전기차 배터리 셀 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그를 위한 생산 확장 계획을 세우고 있다. 또한, 솔리드 파워는 미국 에너지부의 "전기 자동차를 위한 미국 저탄소 생활 (EVs4ALL)" 프로그램에서 총 4200만 달러 중 560만 달러의 지원을 받아 연구 및 개발 활동을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10. 실라 나노 테크놀로지스(Sila Nanotechnologies) 실라 나노 테크놀로지스는 BMW, 다임러 AG(Daimler AG), 지멘스(Siemens), CATL과 같은 세계적인 기업들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해 전기 자동차용 고체 상태 배터리의 상용화를 위한 강력한 투자 지원을 확보했다. 산업 내 주요 플레이어들의 지원 아래, 이 회사는 2028년까지 150 GWh 이상의 대규모 배터리 셀 생산을 목표로 하는 로드맵을 구축하고 있다. 특히, 실라 나노는 20% 더 긴 주행 거리와 20분만에 10-80%까지 충전이 가능한 타이탄 실리콘(Titan Silicon) 배터리 셀을 선보였다. 이 기술은 메르세데스-벤츠의 EQG 모델에 적용될 예정이다. 더욱이, 회사는 기존 고체 상태 배터리 기술의 덴드라이트 현상과 부피가 큰 세라믹 전해질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중간 온도에서 다공성 분리막-양극 스택에 고체 전해질을 용융 침투시키는 방식을 도입할 계획이다.
-
- IT/바이오
-
전기차 시장, '전고체 배터리'가 뜬다…10대 리드 기업 어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