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
-
KB국민은행, 인도네시아 제조업 금융 확대
- 인도네시아 제조업 경기가 5개월 연속 위축 흐름을 이어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KB국민은행의 현지 법인인 PT KB 부코핀은행(BBKP)은 제조업 분야의 신용 수요가 여전히 견조하게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고 현지 매체 와르타키니(wartakini)가 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는 은행권 신용 분배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동시에 인도네시아 산업 부문의 회복세를 가늠할 수 있는 신호로 평가된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2025년 8월 인도네시아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51.5로 전월(49.2)보다 2.3포인트 상승하며 확장 국면에 복귀할 전망이다. 이는 시장 낙관론을 반영하는 동시에 제조업 신용 성장 기대를 뒷받침하는 지표로 받아들여진다. KB부코핀은행 로비 몬동 부행장은 "2025년 7월까지 은행의 신용 증가율이 전년 동기 대비 910%에 달했다"며 "제조업을 포함한 도매·기업 부문에서 연간 89% 성장세를 보이며 성장을 견인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PMI가 확장 영역에 들어선 것은 기업들의 사업 확장 의지를 높이고 신규 신용 수요 확대를 촉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특히 인도네시아 중앙은행이 8월 금리 인하에 나서면서 제조업 기업들이 보다 경쟁력 있는 자금 조달 여건을 확보하게 된 점도 긍정적 요인으로 꼽힌다. KB국민은행은 제조업 금융 지원을 위해 포괄적 위험평가, 신중한 신용정책 수립, 담보 활용 등을 병행하며 지속 가능한 성장을 지향하고 있다. 이를 통해 제조업체들이 생산능력 확충, 설비 현대화, 신제품 개발 등에 필요한 자금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제조업 신용 확대는 일자리 창출, 국민 소득 증대, 국가 경제 성장으로 이어지는 파급 효과를 낳을 것으로 전망된다. KB국민은행은 앞으로도 제조업을 비롯한 도매 부문에 대한 목표형 대출을 강화해 산업 회복의 촉진자 역할을 이어간다는 계획이다. 한편, KB국민은행이 인수한 인도네시아 법인의 실적 회복세가 두드러지고 있다. KB국민은행 인도네시아 법인은 올해 1분기 연결 기준 3,520억 루피아(약 290억 원)의 순이익을 기록하며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8,270억 루피아(약 690억 원)의 연결 순손실에서 벗어난 것으로, KB금융그룹 편입 이후 5년 만의 첫 흑자 달성이다. KB국민은행은 2020년 인도네시아 부코핀은행 지분 67%를 인수해 경영권을 확보한 이후 약 1조 5,000억 원을 투입해 정상화에 나섰으나, 수년간 적자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특히 2022년에는 8,020억 원의 순손실을 기록하기도 했다. 부문별로는 소매금융이 22.68%, 기업금융(도매) 부문이 12.14%, 중소기업 부문이 3.29% 성장하며 전체 건전 대출 포트폴리오가 전년 동기 대비 14.87% 확대됐다. 순이자수익은 1,840억 루피아(약 158억 원)로 11.19% 늘었으며, 순이자마진(NIM)도 0.94%에서 1.09%로 개선됐다. 자산 건전성 지표 역시 눈에 띄게 호전됐다. 위험대출비율(LAR)은 34.33%에서 23.41%로 낮아졌고, 총 부실채권비율(NPL)도 9.92%에서 9.10%로 떨어지며 안정세를 보였다.
-
- 금융/증권
-
KB국민은행, 인도네시아 제조업 금융 확대
-
-
KB국민은행 인도네시아 법인, 상반기 흑자 전환⋯NIM 하락·CFO 적자에 '완전 회복'은 아직
- KB국민은행이 인수한 인도네시아 현지 법인 PT Bank KB Bukopin(이하 KB부코핀)이 오랜 적자 기조를 털고 2025년 상반기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고 인도네시아 매체 핀타르사함(pintarsaham)이 3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2017년 이후 지속된 유동성 위기와 부실채권(NPL) 문제로 침체에 빠졌던 은행이 KB금융그룹의 대대적인 자본 확충과 경영 쇄신을 거쳐 반등의 신호를 보인 것이다. 이 은행은 처음에 1970년대부터 협동조합 및 MSME 부문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도네시아 협동조합 상업 은행(Bukopin)으로 설립됐으며 2006년 IDX에 상장됐다. 그러나 심각한 NPL 위기와 시장 신뢰가 약화되자 부코핀은 한국의 KB국민은행에 인수됐다. KB국민은행이 인도네시아 현지 중형은행인 부코핀은행(Bank Bukopin)의 지분을 67% 확보해 경영권을 인수한 시점은 2020년 8월이다. 2018년 7월, KB국민은행은 부코핀은행 주식 22%를 먼저 취득하며 2대 주주에 올랐고 이어 2020년 7월에는 주주배정 유상증자를 통해 11.9% 지분을 추가로 인수했다. 이후 2020년 8월 제3자 배정 유상증자를 통해 33.1%를 추가 확보, 이로써 총 67%의 지분을 확보하며 경영권을 완전히 확보하게 된 것이다. KB부코핀은 올해 상반기 순이익 3896억7000만 루피아(약 330억 원)를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뚜렷한 실적 개선을 나타냈다. 총자산은 83조6300억 루피아, 자기자본은 8조3700억 루피아로 집계됐다. 자본비율(CAR)은 16.68%, 보통주자본비율(CET1)은 14.60%에 달해 동남아 중소형 은행권 평균을 상회하는 안정적 구조를 확보했다는 평가다. KB국민은행은 2020년 부코핀의 경영권을 확보한 이후, 브랜드 리뉴얼 및 디지털 시스템 고도화를 병행하며 한국식 리스크 관리 체계를 도입해 왔다. 특히 2025년에는 대손충당금(CKPN)의 환입이 842억 루피아에 달하면서 영업 외 수익이 실적에 크게 기여했다. 하지만 실적 회복의 질은 여전히 우려를 낳고 있다. 총여신 41조7300억 루피아 중 순여신은 37조3100억 루피아로, 충당금 반영 후에도 총부실채권(NPL)은 4조7600억 루피아, NPL비율은 11.4%에 달했다. 충당금 커버리지 비율은 39.5%에 불과해 국제 기준(70% 이상)에는 한참 못 미친다. 예금 구조 역시 취약한 편이다. 전체 예금 64조500억 루피아 중 74%가 고금리 정기예금에 집중되어 있으며, 저비용 예금(CASA)은 16조7700억 루피아로 전체의 26%에 그쳤다. 이로 인해 조달금리가 6% 수준까지 상승해 순이자마진(NIM)은 전년 대비 급감한 1.83%를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여전히 마이너스다. 2025년 상반기 영업손실은 572억5000만 루피아에 달했으며, 순이익 대부분은 일회성 투자회수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로 현금흐름표상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CFO)은 마이너스 1조6000억 루피아에 달했고, 잉여현금흐름(FCF)도 –1조7800억 루피아를 나타냈다. 그룹 계열사에 대한 의존도 역시 높은 수준이다. 총 자산 중 3.86%, 부채 중 5.20%가 관계사 관련 거래로 파악되며, 은행 간 예금의 절반 이상이 그룹 계열사로부터 유입됐다. 이는 유동성 측면에선 긍정적이지만, 독립성과 자생력 확보에 있어선 구조적 한계로 작용할 수 있다. 시장에서는 향후 NPL 개선, CASA 확대, 비용 효율화, NIM 회복이 지속적으로 이뤄질 경우 KB부코핀이 인도네시아 금융 시장에서 실질적인 중형 은행으로 안착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KB금융그룹의 뒷받침 아래 현대차·LG 등 국내 기업들과의 시너지 효과 및 K-스타트업의 동남아 진출 플랫폼 역할도 기대된다. 다만 단기적으로는 외형 회복보다는 수익 구조 내실화가 더 절실하다. 이자 이익 기반의 손익구조로의 전환이 미진한 상황에서 금리 변동, 외화 유동성, 정책 리스크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할 경우 실적의 지속 가능성이 흔들릴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주가순자산비율(PBV)은 이익의 질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이며, 이상적인 밸류에이션 기준(NIM 3% 이상, ROE 10% 이상, 커버리지 70% 이상)을 충족하지 못할 경우 시장의 조정 가능성도 존재한다. KB부코핀의 회복 스토리는 아직 '진행형'이다. 단기 실적 반등만으로 낙관하기에는 이르며, 지속적인 자산 건전성 개선과 영업이익 확보가 뒷받침되어야 진정한 턴어라운드로 평가받을 수 있을 것이다.
-
- 금융/증권
-
KB국민은행 인도네시아 법인, 상반기 흑자 전환⋯NIM 하락·CFO 적자에 '완전 회복'은 아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