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
-
[단독] 기아 SUV 폭발 사고 생존자, "끝나지 않은 싸움"⋯책임 규명 촉구
- 지난해 기아 SUV 차량 폭발 사고에서 가까스로 목숨을 건진 한 미국 여성이 사고 이후에도 계속되는 고통과 책임 논란 속에서 "싸움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고 호소하며 책임 규명을 촉구했다. 8일(현지시간) MSN에 따르면 미네소타주에 거주하는 알렉사 존슨(Alexa Johnson)은 2024년 10월, 5세 딸 헤이젤(Hayzel)과 함께 정기 타이어 점검을 마치고 귀가하던 중 갑작스럽게 브레이크가 작동을 멈추고 차량에서 연기가 피어오르는 것을 목격하고 곧바로 탈출했다. 당시 그녀가 몰던 차량은 구입한 지 1년밖에 되지 않은 2020년형 기아 스포티지였다. "딸이 차에서 벨트를 풀고 운전석 문으로 뛰어내렸어요. 우리가 20피트(약 6미터)쯤 달려간 순간, 차량이 가스 라인을 건드리며 폭발했죠. 마치 폭탄이 터지는 것 같았습니다." 존슨은 사고 당시를 떠올리며 이같이 말했다. 차량은 완전히 전소됐고, 존슨은 아직 2만3365달러의 차량 대금을 갚고 있는 중이었다. 보험사 프로그레시브(Progressive)로부터 1만8000달러를 보상받고, 갭(GAP) 보험까지 적용받았지만 여전히 약 600달러의 부족분이 남아 있는 상황이다. 보험사 측은 매일 연체 시 19센트의 이자가 발생한다고 통보했다. 존슨은 피해 사실을 집단소송에 포함시키려 했지만 "증거 부족"을 이유로 거절당했다. 세 차례의 사고 조사에도 불구하고 명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다. 이에 대해 기아자동차 측은 "차량 소유주가 보험사와의 합의를 마쳤다는 사실을 확인한 직후 연락을 취했다"고 밝혔고, 프로그레시브 측은 "존슨 씨와 딸이 무사한 것에 안도하며, 구체적인 내용은 공개할 수 없지만 계속해서 지원할 예정"이라고 전했다고 MSN은 보도했다. 존슨은 "우리는 목숨을 잃지 않았기에 감사하지만, 사고의 책임이 나에게 있다는 식의 처리는 받아들일 수 없습니다"라며 "이 사건에 대해 누군가는 책임져야 합니다"라고 강조했다. 그녀는 또한 "우리가 살아남은 건 기적입니다. 그날의 도움을 잊지 않겠습니다"라며 당시 현장에서 도움을 준 구조대와 이름도 모르는 선행 시민에게 깊은 감사를 전했다.
-
- 산업
-
[단독] 기아 SUV 폭발 사고 생존자, "끝나지 않은 싸움"⋯책임 규명 촉구
-
-
국제유가, 상승세 꺾였다⋯미국 휘발유재고 급증 영향
- 국제유가는 4일(현지시간) 미국의 휘발유 재고 큰 폭 증가 등 영향으로 하락했다. 이날 로이터통신 등 외신들에 따르면 미국 뉴욕상업거래소에서 서부텍사스산중질유(WTI) 2월물 가격은 전거래일보다 0.7%(51센트) 내린 배럴당 72.19달러에 마감됐다. 북해산 브렌트유 3월물은 0.7%(57센트) 하락한 배럴당 77.68달러에 거래됐다. 국제유가는 미국의 휘발유 재고가 큰 폭으로 늘었다는 소식에 수요둔화 우려가 부상하면서 하락했다. 중동 지역을 둘러싼 지정학적 긴장에도 미국의 휘발유 재고가 1000만 배럴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휘발유 재고는 미국의 원유 소비를 보여주는 지표 중 하나로 재고가 늘었다는 것은 그만큼 원유 소비가 줄었음을 시사한다. 미국 에너지정보청(EIA)은 지난달 29일로 끝난 한 주간 원유 재고는 전주 대비 550만3000 배럴 줄어든 4억3106만5000 배럴로 집계됐다고 발표했다. 전문가들은 270만배럴 감소를 예상했다. 전체 원유재고는 예상보다 많이 줄었으나 휘발유 재고는 오히려 증가했다. 휘발유 재고는 한 주간 1090만배럴 늘어난 2억3695만4000 배럴을, 디젤 및 난방유 재고는 1009만 배럴 증가한 1억2585만5000 배럴로 집계됐다. 전문가들은 휘발유 재고가 40만 배럴 증가하고, 디젤 및 난방유 재고도 40만 배럴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같은기간 전략비축유는 110만 배럴 증가한 3억5440만 배럴에 달했으며 오클라호마 쿠싱 지역의 원유 재고는 70만6000 배럴 늘어난 3470만배럴로 집계됐다.하지만 지난 3일 이란에서 폭발사고로 많은 사상자가 발행하는 등 중동의 지정학적 리스크가 고조된 점은 공급부족을 우려를 야기하며 유가하락을 제한했다. 산유국들이 올해에도 협력을 이어갈 것이라고 밝힌 점도 원유 공급에 대한 차질요인으로 작용했다.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러시아 등 비OPEC 산유국으로 이뤄진 OPEC 플러스(+) 협의체는 전날 성명을 내고 2016년 12월에 합의되고 이후 추가로 승인된 협력 선언을 통해 앞으로도 석유 시장 안정을 유지하기 위한 협의체의 지속적이고 변함없는 노력은 계속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프라이스 퓨처스 그룹의 필 플린 선임 시장애널리스트는 "OPEC+ 협의체의 이러한 노력은 글로벌 공급에 대한 위험이 높아진 상황에서 석유 시장의 통제력을 되찾기 위한 냉철하면서도 계산된 움직임이다"라고 분석했다. 그는 이러한 노력은 세계 경제에 상당한 영향을 주고, 이들에게 가격 통제력을 정치적 도구로 활용할 수 있게 해준다고 지적했다. 한편 대표적인 안전자산인 국제금값은 중동의 지정학적 리스크 고조 등에 반등했다. 이날 뉴욕상품거래소에서 2월물 금가격은 0.4%(7.2달러) 오른 온스당 2050.0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
- 산업
-
국제유가, 상승세 꺾였다⋯미국 휘발유재고 급증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