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
-
메타, 아일랜드서 개인정보 보호 위반혐의로 3800억원 과징금 부과
- 소셜미디어 페이스북 모회사인 메타 플랫폼스는 아일랜드에서 개인정보 보호 규정을 위반했다는 이유로 과징금 2억5100만 유로(약 3787억원)를 물게 됐다. 유락티브에 따르면 아일랜드데이터보호위원회(DPC)는 17일(현지시각) 유럽연합(EU)이 정한 일반정보보호규정(GDPR)을 준수하지 않은 혐의로 메타에 과징금을 부과했다. 이는 페이스북이 2017년 7월부터 개인정보 보호 규정을 위반한 데 따른 것으로 유럽경제지역(EEA) 계정 300만 개가 영향을 받았다. 페이스북 측 프로그래밍상 버그로 인한 해당 사건으로 접근 권한이 없는 사람이 이를 이용해 다른 계정 프로필을 설정된 공개 범위 이상으로 볼 수 있었다. 이로 인해 계정 이름, 성별, 종교, 전화번호, 위치, 근무지 등이 비정상적으로 유출됐다. 2018년 9월 메타는 보안 문제를 발견한 뒤 문제점을 수정해 집행 당국에 이 같은 사실을 알렸다. 하지만 DPC는 개인정보 유출 자체로는 과징금 2억4000만 유로(약 3621억원)를 부과했다. 동시에 메타가 GDPR 위반 사실을 통지하지 않았으며 해당 내용을 문서화하지도 않았다는 점에서 과징금 1100만 유로(약 166억원)를 추가로 내도록 했다. 메타는 이 같은 결정에 항소할 것으로 보인다. 메타 측은 이메일을 통해 "우리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즉각적인 조치를 취했다"고 항변했다. 지난 9월 DPC는 비밀번호 관리 오류를 이유로 메타에 과징금 9100만 유로(약 1373억원)를 물렸다. 지난 10월에는 구인·구직 플랫폼 링크드인에 표적 광고를 문제 삼아 과징금 3억1000만 유로(약 4678억원)를 매겼다.
-
- IT/바이오
-
메타, 아일랜드서 개인정보 보호 위반혐의로 3800억원 과징금 부과
-
-
오픈AI, AI기반 동영상 생성서비스 '소라' 출시
- 오픈AI의 인공지능 동영상 생성 서비스 '소라(Sora)'가 마침내 출시됐다. 오픈AI는 9일(현지시간) 홈페이지를 통해 소라를 일반 고객들을 대상으로도 서비스한다고 밝혔다. 지난 2월 첫 발표 이후 10개월 만이다. '소라'는 이용자가 글로 프롬프트(명령어)를 넣으면 동영상을 생성해주는 AI다. '소라'는 최장 20초의 동영상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상업적 이용도 인정된다. 이에 따라 누구라도 손 쉽게 동영상을 편집할 수 있는 시대가 다가온 것이다. 오픈AI는 유럽을 제외하고 미국과 일본, 한국 등에서 '소라'서비스를 개시했다. 이날중에 '소라' 전용 사이트에서 순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로한 사하이 오픈AI 엔지니어링 리드는 온라인 미디어 브리핑을 통해 "영국, 스위스, 유럽경제지역(EEA)을 제외한 대부분의 국가에서 이용 가능하다"고 밝혔다. 서비스는 자체 도메인 소라닷컴(sora.com)에서 이뤄지며 챗GPT 유료고객인 챗GPT플러스(월 20달러)와 챗GPT프로(월 200달러)만 사용할 수 있다. 비디오 생성에는 크레딧이 사용되며 챗GPT플러스 이용자는 1000크레딧(최대 50개 영상)이 제공되며 해상도 720픽셀, 5초의 동영상까지만 생성할 수 있다. 챗GPT 프로 이용자는 1만크레딧(최대 500개 영상)이 제공되며 1080픽셀 해상도로 20초까지 생성가능하며 5번 연속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이미지도 워터마크 없이 사용가능하다. 크레딧은 매 결제일 자정에 리셋되며 다음 달로 이월되지 않는다. 오픈AI는 이날 라이브 영상을 통해 '소라 터보'도 공개했다. 다양한 이미지 비율과 길이로 생성이 가능한 서비스다. 동영상 생성 AI시대 본격 개막 동영상 생성 AI 시대가 본격적으로 열릴 것으로 보인다. 동영상 생성 AI는 영화, 애니메이션, 증강현실(AR) 및 가상현실(VR)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다. 특히 갈수록 커져가고 있는 숏폼 영상 시장에서 동영상 생성 AI 활용이 더 활발해질 것으로 보인다. 사하이 리드는 “카메라가 등장하면서 더 이상 연극 무대에만 의존하지 않아도 되었고, 완전히 새로운 매체가 탄생했다. AI도 마찬가지일거라 생각한다”며 “많은 사람들이 AI를 영화 같은 기존 매체를 대체할 기술로 생각하지만 AI는 단지 창작 과정에서 활용되는 도구일 뿐”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AI는 새로운 스토리텔링 방식과 매체를 만들어낼 것이며, 이전에는 불가능했던 일들을 가능하게 만들 것”이라고 지적했다. 오픈AI는 레드팀(취약점을 발견해 AI 안전성을 검증하는 팀)을 만들어 딥페이크를 방지하기 위해 노력했다고 강조했다. 소라로 생성된 모든 동영상은 C2PA(콘텐트 출처 및 진위 확인을 위한 연합) 표준 AI 워터마크를 넣어 AI가 생성한 콘텐트임을 알 수 있다. 사하이 리드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같은 주요 정치인이나 공적 인물은 생성 차단된다"며 "잘못된 정보의 확산을 방지하려는 노력"이라고 설명했다. 빅테크간 동영상 AI 경쟁 치열 빅테크 간 동영상 AI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보인다. 동영상 소프트웨어(SW) 전통의 강자인 어도비는 지난 10월 ‘어도비 맥스’ 행사에서 파이어 플라이 기반 동영상 AI를 발표했다. 구글, 메타도 각각 동영상 AI를 내놨다. 유튜브는 내년부터 동영상 생성 AI '비오'를 활용해 유튜브 쇼츠 영상을 만들 수 있게 할 계획이다.
-
- IT/바이오
-
오픈AI, AI기반 동영상 생성서비스 '소라' 출시
-
-
MS, 비지니스 플랫폼 '팀즈' 분리판매 방침⋯독점법 위반 대응
- 미국 마이크로소프트(MS)는 1일(현지시간) 전세계에서 업무소프트웨어 '오피스'에서 회의앱 '팀즈(Teams)'를 분리해서 판매할 방침을 나타냈다. 이날 로이터통신 등 외신들에 따르면 MS는 개인 비지니스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인 팀즈가 경쟁법(독점금지법) 위반혐의를 받고 있어 이에 대응해 팀즈를 분리판매키로 했다. 유럽연합(EU) 집행위는 오피스와 팀즈를 세트로 판매하는 방식에 대해 경쟁법을 위반한 혐의로 조사하고 있으며 EU와 스위스에서는 지난해 8월 31일부터 분리해 판매되고 있다. MS는 블로그를 통해 유럽경제구역[EEF, 유럽의 양대 무역 블록인 EU와 유럽자유무역 연합(EFTA)합쳐서 구성된 거대한 유럽 단일 통합 시장]과 스위스를 제외한 지역에서 법인고객용으로 팀즈를 탑재하지 않은 'MS365' '오피스365'의 새로운 라인앱을 도입한다고 밝혔다. MS는 또한 '엔터프라이즈'의 고객에게는 새롭게 혼자서 기능 구현이 가능한 스탠드얼론(Stand-alone)판을 제공한다. 고객들은 이날 이후 현재 라이선스계약의 유지, 경지, 업데이트, 신제품 교체를 선택할 수 있다. 신규 법인고객의 경우 팀주를 탑재하지 않은 오피스 가격은 제품 내용에 따라 7.75~54.75달러, 75달러, 스탠드얼론판 팀즈의 가격은 5.25달러다. 가격은 나라와 통화에 따라 달라질 가능성이 있다.
-
- IT/바이오
-
MS, 비지니스 플랫폼 '팀즈' 분리판매 방침⋯독점법 위반 대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