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
-
미국, 수소차 기술에 전쟁 선포⋯머스크·트럼프 "위험한 도박" 주장
- 미국이 수소차를 둘러싼 글로벌 논쟁의 중심에 섰다. 테슬라 최고경영자(CEO) 일론 머스크와 차기 미국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가 수소차에 대한 강한 비판을 쏟아내면서 논란이 가열되고 있다. 일론 머스크는 수소차를 "어리석은 선택"이라며 비판했다. 그는 수소 연료가 전기차(BEV)보다 비효율적이며, 생산 과정에서 환경적으로 부적합하다고 주장했다. "수소는 바보의 배터리"라는 표현으로 유명한 그는 수소차가 BEV보다 세 배 이상의 전력을 소모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수소차는 폭발 위험이 있다"며 안전성 문제를 제기했다. 이 같은 주장은 과학적 근거가 부족하지만, 그의 정치적 영향력은 대중과 투자자들에게 강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미니해설] 머스크와 트럼프의 비판이 던지는 메시지 머스크와 트럼프의 수소차 비판은 기술적, 정치적, 경제적 논쟁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 머스크는 수소 연료의 생산 과정이 지나치게 자원 집약적이며, 이는 탄소 중립 목표와 상충된다고 강조했다. 또한 도요타의 수소차 '미라이'를 비판하며 BEV가 더욱 지속 가능한 기술이라고 주장했다. 트럼프는 "수소차의 폭발 위험성"을 언급하며 감정적이고 근거 없는 발언으로 수소차 기술을 비판했다. 그의 주장은 과학적으로 뒷받침되지 않지만, 기술 논쟁을 정치적 대립 구도로 확산시킨다. 수소차와 전기차, 글로벌 시장의 운명을 가를 양대 축 수소차 지지자들은 수소 연료 전지가 장거리 운송과 상용차 분야에서 높은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고 본다. 특히, 수소는 저장 및 충전 시간에서 전기차 배터리에 비해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반면, 머스크와 같은 BEV 지지자들은 전기차가 에너지 효율성과 범용성에서 수소차를 앞선다고 주장한다. 현대차와 도요타의 대응 전략 현대차와 도요타는 글로벌 수소차 시장을 이끄는 선두주자다. 현대차는 2023년 1~7월 동안 세계 수소차 시장에서 3662대를 판매하며 38.1%의 점유율을 기록했으나, 전년 대비 점유율은 감소했다. 도요타는 같은 기간 1284대를 판매하며 22.8% 점유율을 보였다. 수소차 시장은 충전 인프라 부족과 높은 비용으로 인해 성장에 제약을 받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대차는 2030년까지 11조 원을 투입해 수소차와 연료 전지 기술 개발을 추진하고 있으며, 도요타는 BMW와 협력해 수소차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미국의 행보가 미치는 글로벌 영향 미국은 청정 에너지 기술의 전환과 글로벌 자동차 산업의 중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머스크와 트럼프의 비판은 단순히 기술 논쟁에 그치지 않고, 전 세계 자동차 산업의 방향성과 청정 에너지 정책에도 영향을 미친다. 수소차와 전기차의 경쟁은 단기간에 결론 나지 않을 것이며, 향후 시장의 판도를 가를 주요 요소로 작용할 것이다. 청정 에너지 기술의 미래, 열린 가능성과 도전 과제 수소차와 전기차 간의 논쟁은 단순히 기술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각국의 에너지 정책과 산업 전략, 환경 목표가 얽힌 복잡한 주제다. 머스크와 트럼프의 비판은 수소차 기술이 직면한 과제를 부각시키는 동시에, 전기차와의 경쟁이 단순한 우열 가리기를 넘어 더 큰 혁신을 촉진할 가능성도 시사한다. 현재로서는 수소차와 전기차 모두 각각의 강점과 약점을 지니고 있다. 수소차는 상용차와 장거리 운송 분야에서, 전기차는 대중 승용차와 충전 인프라 구축에서 강점을 보이며, 두 기술은 서로 다른 시장 요구를 충족할 잠재력을 갖고 있다. 수소차 기술의 성공 여부는 효율성과 안전성, 경제성을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는 혁신적 해결책이 마련되는가에 달려 있다. 반면, 전기차는 급속한 시장 확대와 더불어 배터리 자원의 지속 가능성이라는 도전에 직면해 있다. 향후 청정 에너지 기술의 발전 방향은 단일 기술의 승리로 귀결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오히려 수소와 전기가 상호보완적 역할을 하며 글로벌 자동차 시장과 에너지 전환의 핵심 축으로 공존할 여지도 충분하다고 해야 할 것이다.
-
- 산업
-
미국, 수소차 기술에 전쟁 선포⋯머스크·트럼프 "위험한 도박" 주장
-
-
혼다-GM, 미국서 차량용 수소연료전지 생산 돌입
- 일본 자동차업체 혼다와 미국 GM은 25일(현지시간) 미국 합작공장에서 차량용 수소연료전지시스템의 생산을 개시한다고 발표했다. 이날 닛케이(日本經濟新聞) 등 외신들에 따르면 혼다와 GM이 절반씩 공동투자한 미국 합작회사 ‘퓨엘셀시스템 매뉴팩추링(FCSM)’이 미국 중서부 미시간주 디트로이트 인근의 브라운스타운 공장에서 수소연료전지 시스템의 생산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FCSM은 기존 수소연료전지와 비교해 제조비용을 3분의 1로 줄여 수소연료배터리차량(FCV) 용으로 판매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연소시 이산화탄소(CO2)를 배출하지 않는 수소를 사용한 배터리를 전세계로 확산시켜나가게 됐다. 혼다와 GM은 지난 2019년 출시한 혼다 FCV '혼다 클라리티 퓨엘셀'용 연료전지와 비교하면 제조비용이 3분의 1에 불과하다고 설명했다. GM과 혼다가 원자재를 공동조달한다든지 고가인 귀금속이 사용을 줄여 비용을 줄였다. 또한 내구성도 2배로 높였다. 혼다와 GM이 공동투자한 FCSM은 지나 2017년에 설립됐다. 부지면적 6500㎡의 생산거점에서 이미 80명의 직원을 고용했다. 공장에서는 연료전지의 조립에 자동화를 도입하는 등 생산성을 높이는 방식도 채택했다. 연료전지는 혼다와 GM이 독자 판매처를 확대해나가기로 했다. 혼다는 스포트유틸리티차량(SUV) 'CR-V'를 기반으로 한 FCV를 올해부터 미국 오하이오주 공장에서 생산한다. 미국 내 수소 충전 인프라가 미흡한 점을 고려해 혼다의 CR-V 수소차는 캘리포니아 지역에서만 판매될 것으로 예상된다. 혼다는 또 상용차 부문에서 이스즈와 합작해 2027년 중 수소트럭을 출시할 계획이다. GM도 미 상용차 제조사 오토카와 협력해 2026년부터 오토카가 만드는 레미콘 트럭, 덤프트럭 등 중장비에 연료전지를 적용할 계획이다. 혼다는 2002년에 FCV 'FCX'를 발매했지만 3세대 클라리티 퓨엘셀은 지난 2021년에 단종했다. 혼다는 2040년에 전세계로 판매하는 모든 신차를 배출가스가 없는 전기자동차(EV)와 RCV 등 '제로에이션차량'으로 한다는 방침을 밝혔다. 미국은 지난 22년 성안된 인플레억제법(IRA)에서 제조시의 CO₂ 배출량이 적은 클린 수소생산을 지원할 방침이며 탈탄소전력원으로 수소연료전지시스템 판매를 확대하고 있다.
-
- 산업
-
혼다-GM, 미국서 차량용 수소연료전지 생산 돌입
-
-
韓·인니, 니켈 등 핵심광물 공급망 강화 협력 강화
- 한국과 인도네시아가 핵심광물 공급망 강화를 위한 협력을 강화하기로 합의했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방문규)와 인도네시아 에너지광물자원부(장관 아리핀 타스리프)는 28일(화)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제14차 한-인니 에너지포럼'을 개최하고, 핵심광물 공급망 강화를 위한 양국 간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한국과 인도네시아는 지난 1979년 에너지 분야 정책 교류와 협력사업 발굴을 위해 자원협력위원회를 설치했고, 이 위원회를 2007년 한·인니 에너지포럼으로 개편하면서 연례화했다. 이번 포럼은 양국 간 에너지 협력을 강화하고 한국 기업들의 인도네시아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올해 포럼은 주제별로 석유·가스·광물 협력(1세션), 전력·신재생에너지 협력(2세션), 상호협력 구축(3세션) 등 3개 세션으로 나눠 진행됐다. 이날 포럼에서 양국은 한국지질자원연구원(원장 이평구)과 인도네시아 반둥공과대학 간의 '한-인니 핵심광물 공동연구 센터'를 공식 출범시켰다. 이 센터는 이차전지용 고순도 니켈 제조 공정 및 폐배터리 재활용 기술 등을 공동으로 연구할 계획이다. 이번 협력은 인도네시아의 풍부한 니켈, 주석 등 광물 매장량을 바탕으로 한국이 보다 안정적인 자원 확보를 기대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할 것으로 보인다. 인도네시아는 2021년 기준 니켈(세계 1위), 주석(2위), 금(5위), 보크사이트(6위), 석탄(7위) 등 방대한 광물자원 매장량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매장량 면에서 니켈은 2100만톤(22.3%), 주석은 800만톤(18.6%)으로 각각 세계 1, 2위를 차지했다. 포럼에서는 또한 석유·가스, 이산화탄소 포집·저장(CCS), 수소, 소형원전(SMR) 등 에너지 전 분야에 걸쳐 양국 간 협력 강화 방안도 논의됐다. 양국은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수소 생산 신설, CCS 실증사업, SMR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 등 폐기물을 활용한 수소 생산·활용 인프라 구축, 인도네시아 유·가스전의 이산화탄소 저장소 전환 등의 사업이 진행될 예정이다. 이는 향후 한국 기업들의 수소차 및 관련 설비 수출에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오는 29일, 한국지질자원연구원과 인도네시아 반둥공과대학이 참여하는 '한-인니 핵심광물 공동연구센터'가 정식으로 문을 열 예정이다. 산업통상자원부의 한 관계자는 이와 관련하여 "한-인니 공동연구센터를 통해 이차전지용 고순도 니켈 제조 공정 및 폐배터리 재활용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
- 산업
-
韓·인니, 니켈 등 핵심광물 공급망 강화 협력 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