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
-
한국 최초 노벨문학상 수상! 소설가 한강, 세계 문학계 정상에 우뚝 서다
- 한국 문학계에 낭보가 전해졌다. 소설가 한강(54)이 한국인 최초로 노벨 문학상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스웨덴 한림원은 10일(현지시간) "역사적 상처를 섬세하게 응시하며 인간 존재의 본질을 탐구하는 깊이 있는 서정성"을 높이 평가해 한강을 2024년 노벨 문학상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1901년 제정된 노벨 문학상은 '이상적인 방향으로 가장 뛰어난 문학 작품을 쓴 작가'에게 수여되는 세계 최고 권위의 문학상이다. 올해로 117회를 맞는 노벨 문학상은 지금까지 121명의 수상자를 배출했으며, 한강은 여성 작가로는 역대 18번째 수상자로 이름을 올렸다. '채식주의자', '소년이 온다' 등으로 세계적 주목 '채식주의자', '소년이 온다', '흰' 등으로 잘 알려진 한강 작가는 한국 문학의 독창성과 깊이를 세계 무대에 알리는 데 크게 기여해왔다. 특히 '채식주의자'는 인간의 폭력성과 여성의 억압된 욕망을 그로테스크하게 그려내 국내외 독자와 평단의 찬사를 받았다. 이 작품은 맨부커상 인터내셔널 부문 수상으로 이미 세계 문학계의 주목을 받은 바 있다. 이번 수상은 2012년 중국 작가 모옌 이후 12년 만에 아시아 국가에서 노벨 문학상 수상자가 탄생했다는 점에서 더욱 의미가 깊다. 한강의 수상은 한국 문학의 세계적 위상을 드높이고, 아시아 문학의 저력을 다시 한번 입증하는 쾌거로 평가된다. 역대 노벨 문학상, 흥미로운 기록들 프랑스는 16명의 수상자를 배출하며 노벨 문학상 최다 수상 국가로 기록되어 있다. 미국(13명), 영국(12명)이 그 뒤를 잇는다. 문학상은 과학 분야와 달리 공동 수상이 드물다. 1904년, 1917년, 1966년, 1974년 단 4차례만 공동 수상이 이루어졌다. '닥터 지바고'의 작가 보리스 파스테르나크(1958년)와 프랑스 철학자 장 폴 사르트르(1964년)는 수상을 거부한 사례로 기록됐다. 최연소 수상자는 '정글북'의 작가 러디어드 키플링(1907년, 41세)이며 최고령 수상자는 영국 작가 도리스 레싱 (2007년, 87세)이다. '의외의 수상자'로는 윈스턴 처칠이 있다. 영국 총리 윈스턴 처칠은 1953년 회고록으로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다. 2016년 미국 가수 밥 딜런의 수상은 문학상의 범위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한국이 노벨상을 수상한 것은 지난 2000년 고(故) 김대중 대통령이 평화상은 탄 데 이어 두 번째다. 수상자에게는 상금 1100만크로나(약 13억4000만원)와 메달, 증서가 수여된다. 한강 작가의 노벨 문학상 수상은 한국 문학사에 길이 남을 역사적인 사건으로 기록될 것이다.
-
- 생활경제
-
한국 최초 노벨문학상 수상! 소설가 한강, 세계 문학계 정상에 우뚝 서다
-
-
美 메릴랜드대, 야생 '뱀파이어 바이러스' 최초 발견
- 미국에서 '뱀파이어 바이러스'가 야생에서 최초로 발견돼 과학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영국의 의사이자 소설가였던 존 윌리엄 폴리도리(1795~1821)는 흡혈귀 즉 '뱀파이어' 소설을 집필해 큰 인기를 끌었다. 밤에 나타나 사람들의 피를 빨아먹고, 삶을 연명하는 뱀파이어는 지금까지도 수많은 영화로도 제작될 만큼 단골 소재로 쓰이고 있다. 이러한 뱀파이어 바이러스가 실제로 발견돼 세상을 놀라게 했다. 영국 매체 메일 온라인은 미국 메릴랜드대학교 볼티모어 카운티(UMBC) 연구팀이 스스로를 복제하기 위해 다른 바이러스에 달라붙는 병원체인 '뱀파이어 바이러스'를 처음으로 관찰했다고 최근 보도했다. 연구팀은 오랫동안 이론적으로 대부분의 자가 복제와는 달리 일부 바이러스가 다른 바이러스를 '잡아먹는 현상'을 알고 있었다. 메릴랜드의 연구팀은 '위성 바이러스'와 '도우미 바이러스'라 불리는 바이러스 간의 상호작용을 현미경을 통해 관찰했다. 연구 결과, 박테리아를 감염시키는 일종의 바이러스인 박테리오파지가 토양 매개 바이러스의 '목' 부분(캡시드가 바이러스의 꼬리와 연결되는 부위)에 부착하는 것을 발견했다. 수석 연구원이자 생물학자인 타지드 드카발로(Tagide deCarvalho)는 이러한 현상을 목격하고 믿을 수 없었다고 밝혔다. 그는 "박테리오파지나 다른 바이러스가 또 다른 바이러스에 부착되는 것을 목격한 사람은 거의 없었다"고 말하며 놀라움을 나타냈다. 바이러스 간의 관계에서 '위성'과 '도우미'라는 용어가 사용된다. 여기서 '위성'은 자신의 생명주기 동안 도우미 바이러스에 의존하는 감염성 요소를 의미한다. 연구팀은 토양에서 발견되는 스트렙토마이세스 박테리아(조력자 역할을 하는 종)를 포함해 위성 박테리오파지(박테리아를 감염시키는 바이러스)의 샘플을 연구했다. 일반적으로 박테리오파지는 유전적으로 통합된 유전자를 가지고 있으며, 보통은 도우미 바이러스에 직접 부착하지 않는다. 그러나 UMBC에서 연구된 '미니플라이어(MiniFlayer)'라고 명명된 이 위성은 유전적 통합이 없는 것으로 알려진 최초의 사례다. 이는 숙주 세포의 DNA에 병합될 수 없기 때문에 생존하려면 숙주 세포에 들어갈 때마다 '마인드플라이어(MindFlayer)'라는 도우미 바이러스 근처에 있어야 한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분석된 도우미 바이러스 중 80%(50개 중 40개)가 목 부위에 위성 바이러스가 부착된 상태로 관찰됐다. 이러한 발견을 바탕으로, 연구팀은 이 현상의 직접적인 증명은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바이러스 간의 부착이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추론했다. 이반 에릴 생물학 교수는 이에 대해 "부착이 없다면, 위성 바이러스가 어떻게 세포 내부로 들어갈 수 있을지 보장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추가 관찰을 통해 미니플라이어와 도우미 바이러스가 오랫동안 함께 진화해온 사실이 밝혀졌다. 에릴 교수는 "이 위성 바이러스는 적어도 1억 년 동안 도우미 바이러스와 관련되어 게놈을 조정하고 최적화해왔다"고 주장했다. 에릴 연구팀의 대학원생이자 논문 공동 제1저자인 엘리아 마스콜로(Elia Mascolo)는 위성, 도우미, 숙주의 게놈을 분석하여 이전에는 알려지지 않았던 이러한 바이러스 관계에 대한 추가적인 단서를 밝혀냈다. 대부분의 위성 바이러스는 숙주 세포 내부에 들어간 후 그 세포의 유전 물질에 통합될 수 있는 유전자를 가지고 있다. 이를 통해 도우미 바이러스가 세포에 들어올 때마다 위성 바이러스가 번식할 수 있게 되며, 숙주 세포는 위성 바이러스가 분열할 때 그것의 DNA와 자신의 DNA를 복제하게 된다. 특히 바이러스 간의 상호 작용이 질병의 발병과 전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 생활경제
-
美 메릴랜드대, 야생 '뱀파이어 바이러스' 최초 발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