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
-
SK하이닉스, 삼성·현대차 제치고 '최우수 기업' 선정
- 고대역폭메모리(HBM) 특수로 사상 최대 실적을 낸 SK하이닉스가 국내 500대 기업 경영평가에서 삼성전자와 현대차를 제치고 2024년 최우수 기업에 선정됐다.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14일 발표한 경영평가에 따르면, SK하이닉스는 종합점수 622.9점을 기록해 800점 만점 중 최고점을 받았다. 삼성전자는 596.0점으로 2위, 삼성바이오로직스가 590.0점으로 3위를 차지했다. 지난해 1위였던 현대차는 559.5점으로 5위로 밀렸다. 이번 평가는 고속성장, 투자, 글로벌 경쟁력 등 8개 부문에서 이뤄졌으며, SK하이닉스는 고속성장과 투자, 건실경영 등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미니해설] 'HBM의 힘'…SK하이닉스, 2024년 최우수 기업 선정 고대역폭메모리(HBM) 호조에 힘입어 SK하이닉스가 국내 500대 기업 경영평가에서 2024년 최고의 기업으로 선정됐다. 글로벌 경쟁력을 상징하던 삼성전자와 현대차를 각각 2위와 5위로 밀어내며 6년 만에 1위 자리를 탈환했다.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는 14일, 매출 상위 500대 기업 중 사업보고서를 제출한 비금융기업 268곳을 대상으로 한 ‘2024년 500대 기업 경영 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이 조사에서 SK하이닉스는 800점 만점에 622.9점을 받아 종합 1위에 올랐다. 이는 2019년 이후 6년 만의 성과로, SK하이닉스는 특히 △ 고속성장 △ 투자 △ 건실경영 부문에서 두드러진 평가를 받았다. 지난해 SK하이닉스는 AI 반도체 시장 확대에 따른 HBM 수요 급증으로 실적이 급등하며 사상 최대 매출을 기록했다. HBM(High Bandwidth Memory)은 고대역폭 메모리라는 뜻으로, 기존 D램(DRAM) 대비 훨씬 빠르고 전력 효율이 높은 차세대 메모리 기술이다. 주로 고성능 컴퓨팅(HPC), 인공지능(AI), 그래픽 처리장치(GPU) 등 막대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처리해야 하는 분야에서 사용된다. '대역폭'이란 데이터를 주고받는 통로의 넓이다. HBM은 여러 개의 D램 칩을 수직으로 쌓고, 실리콘 관통 전극(TSV, Through-Silicon Via) 기술로 연결해 데이터 통로를 넓힌 구조다. 따라서 GDDR6 등 기존 메모리보다 훨씬 많은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 SK하이닉스는 전사적 차원에서 HBM 투자를 확대했고, 이는 평가 지표에서 고루 높은 점수로 이어졌다. SK하이닉스의 지난해 총투자액은 21조6170억 원에 달했다. 반면, 삼성전자는 종합점수 596.0점으로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2위에 그쳤다. 삼성전자는 2023년 설비투자 53조7416억 원, 연구개발(R&D) 35조215억 원을 포함해 총 88조7631억 원을 투입했다. 이는 전체 조사대상 중 최대 규모로, SK하이닉스보다 4.1배 많은 수준이다. 투자 부문에서 1위를 차지했지만, 상대적으로 고속성장성과 수익성 부문에서 점수를 잃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지난해보다 두 단계 상승한 3위(590.0점)에 올랐다. 이 회사는 글로벌 제약사와의 경쟁에서도 높은 영업이익률을 기록하며 글로벌 경쟁력 부문에서 호평을 받았다. 실제로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중국 최대 제약사 시노팜 대비 매출은 4.1% 수준에 그쳤지만, 영업이익률은 26.2%포인트나 높았다. 기아는 572.7점으로 2년 연속 4위를 유지했다. 글로벌 자동차 시장에서 기아는 폭스바겐에 비해 매출 규모는 22.4%에 불과했지만, 영업이익률은 오히려 5.9%포인트 높아 수익성 측면에서 경쟁 우위를 보여줬다. 반면, 지난해 종합 1위였던 현대차는 559.5점으로 5위로 밀렸다. 2023년 실적이 전년 대비 고성장세를 보였던 것과 달리, 지난해에는 성장세가 둔화되면서 종합 순위가 하락했다. 부문별 우수 기업도 눈길을 끈다. 고속성장 부문에서는 매출 10조 원 이상 기업 중 SK하이닉스, HMM, 한화오션, 고려아연,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선정됐고, 10조 원 미만 기업에서는 한화에너지, 삼양식품, 씨에스윈드, 크래프톤, 셀트리온이 이름을 올렸다. 투자 부문에서는 삼성전자, 삼성바이오로직스, LG화학, 현대차, SK하이닉스가 선정됐다. 특히 삼성전자의 투자금액은 단일 기업 기준으로 압도적이었다. 글로벌 경쟁력 부문에서는 삼성바이오로직스 외에도 기아, 현대차, 셀트리온, HMM 등이 포함됐다. 이 부문은 글로벌 1위 기업 대비 매출·수익 구조의 상대 경쟁력을 중심으로 평가된다. 지배구조 투명성 부문에서는 HD현대건설기계, 케이티앤지, 카카오, 삼성물산, 삼성전자, 유한양행이 우수기업으로 선정됐다. 건실경영 부문은 크래프톤, 오리온, 기아,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HMM이 이름을 올렸다. 또한 일자리 창출 부문에서는 현대케피코, 에쓰오일, 코스맥스, 한일시멘트, SJG세종이, 양성평등 부문에서는 한세실업, 영원무역, 삼양식품, 현대케피코, 삼성바이오로직스가 높은 점수를 받았다. 사회공헌 및 환경보호 부문에서는 HD현대건설기계, SK케미칼, 한일시멘트, HD현대케미칼, LS전선이 우수기업으로 평가됐다. 이번 평가 결과는 단순한 재무성과를 넘어서 각 기업의 지속 가능성과 사회적 책임, 글로벌 경쟁력까지 아우른 종합적인 지표로 활용될 수 있다. 특히 SK하이닉스의 1위 등극은 반도체 산업 재편 속에서 한국 기업의 기술적 경쟁력이 다시 한번 부각된 사례로 해석된다.
-
- 경제
-
SK하이닉스, 삼성·현대차 제치고 '최우수 기업' 선정
-
-
미국 상장 국내 금융지주, 재벌 여신 건전성에 대한 우려 제기
- 미국 증시에 상장된 국내 금융지주들이 현지 당국에 제출한 사업보고서에서 일제히 재벌그룹 여신 건전성에 대한 우려를 지적했다. 최근 기업부채가 전반적으로 증가하면서 총여신에서 대기업 여신이 차지하는 비중도 확대된 가운데 이러한 평가가 나와 주목된다. 21일 금융권에 따르면 KB·신한·우리금융지주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신고한 2023년도 사업보고서에서 대기업 여신 포트폴리오 관련된 위험을 강조했다. 이 내용은 국내용 사업보고서에는 구체적으로 포함되지 않은 부븐이다. 먼저, KB금융은 "익스포저(위험노출액) 기준 상위 20대 기업 중 8개 기업이 금융감독원이 신용공여 잔액 기준으로 한국 대기업 집단 중 가장 부채가 많은 기업 집단으로 지정한 37개 주요 채무계열에 포함된다"고 밝혔다. 또한, 주요 채무계열에 속한 대기업 집단에 대한 익스포저 규모는 46조3260억 원에 달하며, 이는 전체 익스포저의 7.0%에 해당한다고 설명했다. 이는 2022년 말 같은 기준의 익스포저 39조5350억원(6.2%)과 비교해 금액과 비중이 모두 증가한 것이다. 신한금융은 "신한은행의 10대 법인 익스포저 중 3곳은 신한은행을 주채권자 은행으로 하는 회사들이며, 10대 법인 모두 금융위가 지정한 주요 채무계열 그룹"이라고 밝혔다. 이어 이들에 대한 익스포저 규모는 30조5210억 원으로 전체 익스포저의 8.8%에 달하며, 단일 재벌 그룹에 대한 익스포저 중 가장 큰 금액은 5조7840억 원이라고 말했다. 이는 2022년 말 기준 10대 법인 익스포저 28조9400억원(8.6%)보다 증가한 수치이다. 우리금융의 경우 "기업 차주 상위 20개 중 7개가 국내 40대 재벌 계열사"라며 "40대 재벌에 대한 익스포저 규모는 25조9천180억원으로 총여신의 4.4%"라고 했다. 우리금융의 경우 "기업 차주 상위 20개 중 7개가 국내 40대 재벌 계열사"라며 "40대 재벌에 대한 익스포저 규모는 25조9180억 원으로 총여신의 4.4%"라고 밝혔다. 이 또한 2022년 말 기준 21조6220억 원(3.9%)보다 증가한 규모다. 금융지주사들은 이러한 막대한 규모의 대기업 익스포저가 부실화할 수 있다는 점을 전제로, 기업 여신이 소수 대기업 차주에 집중돼 있어 포트폴리오 리스크가 높은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대기업의 건전성이 무너지면 상대적으로 더 취약한 중소기업까지 도미노로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다는 점도 함께 지적했다. KB금융은 "대기업 집단에 대한 익스포저 건전성이 악화될 경우 상당한 규모의 대손충당금을 추가로 적립해야 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 또한 "재벌들의 실적 악화는 관련 중소기업의 유동성과 재무 상태를 악화시켜, 중소기업 고객들의 상환 능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시나리오를 제시했다. 신한금융은 "대기업에 대한 익스포저의 신용등급이 하락하면, 여신에 대한 추가 신용 손실 충당금 전입과 해당 증권의 감액을 요구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재벌을 포함한 대기업의 파산이나 재정적 어려움은 중소기업 여신의 불이행을 야기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우리금융도 "재벌에 대한 익스포저의 신용 건전성이 악화할 경우 거액의 대손충당금을 추가로 부담해야 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최근 기업 부채의 질적 저하는 향후 금융안정에 걸림돌이 될 수 있는 변수로 지목된다. 한편, 한국은행은 전날 발표한 국내 기업부채에 대한 보고서에서 "건전성 측면에서는 대체로 안정적이다"라면서도 "한계기업 부채 비중 확대 등으로 기업 부채의 질이 다소 저하되고 있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
- 경제
-
미국 상장 국내 금융지주, 재벌 여신 건전성에 대한 우려 제기
-
-
지난해 500대 기업 영업익 25%이상 감소…삼성전자, 최대 하락
- 지난해 500대 기업의 영업이익이 25% 이상 감소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전기전자 대표 기업의 부진이 전체 영업이익 하락세를 주도했다. 27일 CEO스코어가 500대 기업 중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를 제출한 265곳을 대상으로 지난해 연간 실적을 조사한 결과, 이들 기업의 전체 매출액은 2506조165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2022년 2543조6015억원 대비 1.5%(37조5851억원) 줄어든 수치다. 특히 지난해 영업이익은 104조7081억원으로 전년 141조2024억원에 비해 25.8%(36조4943억원) 축소됐다. 업종별로는 전체 18개 중 13개 업종에서 영업이익이 감소했다. 이 중 IT 전기전자 업종의 지난해 영업이익은 6조5203억원으로 전년(59조986억원)에 비해 89%(52조5783억원) 줄어, 실적 하락이 두드러졌다. 글로벌 경기 둔화로 반도체와 TV, 생활가전 등의 판매 부진이 심화됐기 때문이다. 반면 공기업의 영업이익은 큰 폭으로 개선됐다. 2022년 30조4651억원의 영업 적자를 기록했지만 지난해 2조4741억원으로 손실을 크게 줄였다. 재무 건전성 제고에 주력한 결과다. 기업별로는 삼성전자의 영업이익이 가장 크게 줄었다. 지난해 삼성전자의 영업이익은 6조5670억원으로 전년(43조3766억원) 대비 84.9%(36조8096억원) 급감했다. 반도체(DS)부문의 실적 부진이 큰 영향을 미쳤다. SK하이닉스도 두 번째로 실적 감소가 컸다. 2022년 영업이익이 6조8094억원이었지만, 지난해 7조7303억원 손실을 기록, 적자전환했다. 코로나 팬데믹 기간 호황을 누렸던 HMM도 지난해 영업익이 94.1% 급감했다. 이밖에 GS칼텍스(57.7%↓), SK에너지(84.3%↓), HD현대오일뱅크(77.9%↓), 에쓰오일(60.2%↓), 대한항공(36.8%↓) 등도 1조원 이상 영업이익이 감소했다. 반면 한국전력은 영업적자 규모를 지난 2022년 32조6552억원에서 지난해 4조5416억원으로 대폭 줄였다. 지난해 3차례에 걸친 전기요금 인상과 국제 연료 가격 하락 등이 맞물렸기 때문으로 보인다. 현대차와 기아의 실적도 큰 폭으로 개선됐다. 지난해 현대차의 영업이익은 54.0% 늘어난 15조1269억원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기아의 영업이익도 60.5% 증가한 11조6079억원에 달했다. 특히 현대차와 기아의 지난해 연간 영업이익 합산액(26조7348억원)은 연료 가격 하락 등이 맞물렸기 때문으로 보인다.
-
- 산업
-
지난해 500대 기업 영업익 25%이상 감소…삼성전자, 최대 하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