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
-
10월 세계 스마트폰 판매량 약 2년 만에 반등…1위는 삼성
- 지난달 전 세계 스마트폰 판매량이 신흥시장 수요 회복에 힘입어 2년여 만에 상승세로 돌아섰다. 22일(현지시간)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 보고서에 따르면 10월 전세계 스마트폰 소매 판매량은 지난해 같은 달보다 5% 증가했다. 이는 2021년 6월 이후 처음으로 전년 동기 대비 성장을 기록한 것이다. 또 27개월 연속 전년 동기 대비 감소세도 깨졌다. 지난달에는 2022년 1월 이후 가장 높은 월간 스마트폰 판매량을 기록하기도 했다.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중동과 아프리카의 지속적인 회복, 화웨이의 중국 복귀, 인도의 축제 시즌 시작 등 신흥 시장이 성장을 주도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상대적으로 스마트폰 포화도가 높은 선진국 시장의 회복 속도는 더디다고 덧붙였다. 화웨이는 7나노 첨단 반도체를 장착한 메이트60프로 스마트폰을 출시한 이후 3분기 중국 스마트폰 제조업체 중 가장 빠른 성장을 기록했다. 또 올해 9월 말 애플이 아이폰15 시리즈를 출시한 것도 전 세계 스마트폰 판매량 증가에 보탬이 됐다고 한다. 지난 2년여 간 전 세계 스마트폰 판매는 부품 부족, 재고 축적, 교체주기 연장 등으로 영향을 받아왔다. 브랜드별로 보면 삼성전자는 올해 3분기 전체 스마트폰 판매량의 20%를 점유하며 글로벌 시장을 주도를 이어갔다. 애플은 시장점유율 16%로 2위, 샤오미는 12%로 뒤를 이었다.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4분기 전 세계 스마트폰 시장이 더욱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10월의 강력한 성장에 이어 올해 4분기에도 시장이 전년 동기 대비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면서 "향후 분기에는 시장이 점진적인 회복의 길로 들어서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
- 산업
-
10월 세계 스마트폰 판매량 약 2년 만에 반등…1위는 삼성
-
-
AI반도체 대장주 엔비디아, 수요급증에 파죽지세 성장세 지속
- 인공지능(AI) 반도체 '대장주' 엔비디아가 전 세계적인 AI 열풍 속에 관련 인프라를 구축하려는 기업들의 수요급증에 올해 3분기에도 파죽지세의 성장세를 이어갔다. 엔비디아는 22일 올해 회계년도 3분기에 매출 181억2000만 달러(약 23조3900만 원)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역대 최대 분기 매출로 전 분기 대비 34%, 지난해 동기 대비 206% 각각 증가했다. 데이터센터 관련 매출은 145억1000만 달러로 전 분기 대비 41%, 전년 동기 대비 279% 급등했다. 주당 순익은 4.02 달러로 집계됐다. 이는 당초 시장 전망치를 웃도는 실적이다. 팩트셋에 따르면, 월가 애널리스트들은 엔비디아가 회계년도 3분기에 조정 주당순익으로 3.37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매출 역시 예상치인 161억8000만 달러를 웃돌았다. 엔비디아는 올해 연이어 폭발적인 성장세를 이어왔다. 오픈AI의 인공지능 챗봇 '챗GPT' 공개 이후 전 세계적인 생성형 AI 열풍이 불어오며 컴퓨팅 인프라를 구축하려는 움직임이 거셌기 때문이다. 엔비디아는 전 세계 AI 반도체 시장점유율 80~90% 가량을 기록하고 있다. 이는 기업 가치에도 반영돼 올해에만 주가가 245% 급등했다. 금융정보업체 LSEG는 엔비디아가 회계년도 4분기에도 전년 대비 200% 수준의 매출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했다. 외신들은 엔비디아가 현재 만성적으로 약 20%의 초과 수요 현상을 보이고 있으며, 내년까지 주문도 대부분 확보한 상황이라고 보도했다. 이에 따라 생산능력과 속도의 확보가 곧 추가 성장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분석이다. 이날 엔비디아는 일각에서 제기된 최근 미중 무역갈등으로 인한 수출 제한으로 인해 성장세가 꺾일 수 있다는 전망을 반박했다. 엔비디아는 주주서한을 통해 "올해 4분기 (미국의) 중국 수출 제한으로 인해 해당 지역의 매출이 크게 감소할 것으로 예상한다"면서도 "이러한 감소폭은 다른 지역에서의 강한 성장세로 상쇄하거나, 그 이상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
- IT/바이오
-
AI반도체 대장주 엔비디아, 수요급증에 파죽지세 성장세 지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