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
-
10월 생산자물가지수 0.1% 하락…농축산물 수요 감소
- 10월 생산자물가가 농축산물 가격 하락 등으로 넉 달 만에 떨어졌다. 21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2023년 10월 생산자물가지수는 121.59(2015년=100)로 9월(121.72)보다 0.1% 내렸다. 공산품(0.1%), 서비스(0.1%) 등이 올랐으나 농림수산품(-5.5%)이 내려 지난해 10월보다는 0.8%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품목별로 전월 대비 등락률을 보면 농림수산품이 5.5% 하락했다. 수산물(1.3%)은 올랐으며, 농산물(-5.9%)과 축산물(-6.0%)이 급락했다. 공산품은 반도체 가격 상승 등으로 0.1% 상승했다. 세부 항목을 보면 국제유가 하락으로 석탄 및 석유제품이 1.4% 내렸지만, 반도체 가격 상승으로 컴퓨터·전자 및 광학기기가 0.8%, 화학제품이 0.3% 각각 올랐다. 전력·가스·수도 및 폐기물은 원료비 연동제에 따라 산업용 도시가스(3.7%) 등이 오르면서 전월 대비 0.4% 상승했다. 서비스는 서울과 부산의 대중교통 요금 인상에 운송 서비스가 0.5%, 임시공휴일 지정 등으로 음식점 및 숙박 서비스가 0.3% 각각 상승해 0.1% 올랐다. 특수 분류별로 식료품이 9월보다 2.7%, 신선식품이 9.8% 각각 떨어졌다. 에너지(-0.2%)는 지난 5월 이후 처음으로 전월 대비 하락세를 나타냈다. 세부 품목중에서 특히 시금치가 -73.3%, 배추 -23.5%, 돼지고기 -13.6%, 쇠고기 -6.6% 등이 내렸다. 반면 물오징어 10.7%, 맥주가 8.5% 각각 올랐다. 수입품까지 포함해 가격 변동을 측정한 국내 공급물가지수는 전월보다 0.7% 상승했다. 원재료와 중간재 물가가 각각 3.6%, 0.6% 올랐고 최종재는 보합세를 나타냈다. 국내 출하에 수출품까지 더한 10월 총산출물가지수는 9월보다 0.2% 올랐다. 농림수산품은 전월 대비 5.4% 하락하고 공산품은 0.6%, 서비스는 0.1% 각각 상승했다. 조사 대상 품목은 2023년 기준 894개 품목으로 크게 2개 부문으로 상품 789개, 서비스 105개 품목이 포함됐다. 단 선박이나 무기류, 항공기, 예술품 등 동일한 품질 가격의 유지가 어려운 품목은 생산자물가지수 모집단에서 제외됐다. 유성욱 한은 물가통계팀장은 브리핑에서 "10월 중순 발병한 럼피스킨 영향으로 쇠고기 수요가 줄어들었다. 돼지고기도 명절 수요 감소로 가격이 떨어졌다"고 설명했다.
-
- 경제
-
10월 생산자물가지수 0.1% 하락…농축산물 수요 감소
-
-
물가 비상, 유제품·주류·전기료 등 생활물가 전반 경고등
- 햄버거와 주류 등 먹거리 가격 뿐만 아니라 전기료 등 생활물가 전반에 걸쳐 인상러시가 이루어지고 있어 물가 경고등이 켜졌다. 6일 정부부처 및 업계 등에 따르면 햄버거와 유제품, 주류업계 등이 출고가를 올렸다. 이들 업계는 유가와 환율 등 국제정세 불안 요소로 인해 원자재 가격이 오르자 정부의 물가안정 협조에도 가격 인상에 나선 것이다. 일부는 올초에 이어 추가로 인상됐다. 유제품 가격은 8%대 원유(原乳)가격 인상에 덩달아 올랐다. 서울우유와 매일우유, 남양유업이 생크림과 요거트 가격 등을 인상하기로 결정했다. 원재료인 우유를 비롯해 설탕·소금 등의 가격이 뛰자 다른 식품 가격도 오르고 있다. 하이트진로는 오는 9일부터 맥주 '켈리'와 '테라', 소주 '참이슬'의 출고가를 평균 6.8~6.9% 인상한다. 이에 앞서 맥주시장 1위 오비(OB)는 지난달 11일 맥주 '카스' 등 출고가를 평균 6.9% 올렸다. 햄버거 가격도 줄인상됐다. 맘스터치는 지난달 31일부터 닭가슴살을 이용하는 버거 4종 가격을 평균 5% 인상했다. 올초에 이어 또 올랐다. 맥도날드는 이달초 빅맥을 포함 총 13개 메뉴 가격을 평균 3.7% 인상했다. 이에 대표 메뉴인 빅맥의 가격이 5200원에서 5500원이 됐다. 맥도날드는 지난 2월 일부 제품가를 5%대 인상한 바 있다. 이처럼 경쟁사에서 가격을 올리면서 버거킹과 롯데리아 등도 관행처럼 인상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뿐만 아니라 한전의 역대급 적자를 야기한 전기요금도 이달중 인상여부를 결정할 것으로 전망된다. 고물가에 총선을 앞둔 상황이란 변수가 있지만 전기요금은 4분기 인상이 유력시된다. 이와 함께 11월 중순~12월 초순 김장 성수기를 앞두고 김장철 주재료인 가을배추와 무·마늘·새우젓은 생산량이 크게 증가해 안정적인 공급이 예상되지만 소금·고춧가루·대파 등은 공급량 부족이 우려돼 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 각 부처들이 김장철·난방비 물가안정 대책에 이어 식료품업계, 주유업계 등 현장 방문을 통해 물가안정을 당부하고 나서고 있다. 현재 정부는 각 부처 차관이 물가안정책임관으로 소관품목 물가 안정을 책임지는 범부처 특별물가안정체계를 가동 중이다. 하지만 이같은 정부조치가 실제 물가안정에 기여할지는 의문이 제기되는 상황이다.
-
- 경제
-
물가 비상, 유제품·주류·전기료 등 생활물가 전반 경고등
-
-
한국은행, 8월 생산자물가 0.9% 상승…유가 상승 여파
- 8월 생산자물가가 최근 국제 유가 상승과 공산품, 농산물 가격 등의 상승세에 힘입어 1년 4개월만에 가장 큰 폭으로 올랐다. 한국은행이 20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8월 생산자물가지수는 7월보다 0.9% 상승했다. 전년 동월과 비교하 1.0% 올랐다. 생산자물가지수는 국내생산자가 국내시장에 공급하는 상품과 서비스의가격변동을 측정하는통계로서 경기동향판단지표, GDP디플레이터 등으로 이용된다. 생산자물가지수는 7월(0.3%)과 8월(0.9%) 두 달 연속 올랐으며, 8월 상승 폭은 지난해 4월(1.6%) 이후 가장 컸다. 품목별로 전월 대비 등락률을 보면 농림수산품은 7.3% 상승했다. 폭염과 집중호우 등의 영향으로 농산물은 13.5%가 급등했다. 축산물은 1.5% 올랐고 수산물은 전월과 비슷했다. 특히 식품은 전월 대비 3.4% 올랐고 신선식품은 14.6% 급등했다. 공산품은 제1차금속제품은 0.3% 내렸으나 국제유가 상승 여파로 석탄과 석유제품이 11.3% 급등했고, 화학제품은 1.4% 올라 전월 대비 1.1% 상승했다. 전력과 가스·수도·폐기물은 산업용도시가스가 5.8%가 내려 전월 대비 0.5% 하락했다. 서비스는 운송서비스 0.8%, 음식점과 숙박서비스 0.4% 등이 올라 전월 대비 0.3% 상승했다. 특히 여름 휴가철 영향으로 호텔은 7.3%, 휴양콘도는 무려 18.2% 급등했다. 세부 품목 중에서는 배추(112.7%), 시금치(56.7%) 등 농산물이 큰 폭으로 올랐다. 축산물은 쇠고기는 10.2% 껑충 뛰었고, 돼지고기는 1.6% 올랐다. 경유(17.4%), 나프타(15.3%), 프로필렌(13.7%), 호텔(7.3%), 휴양콘도(18.2%), 시내버스(7.7%) 등의 상승 폭도 컸다. 한편, 수입품까지 포함해 가격 변동을 측정한 국내 공급물가지수는 7월 대비 1.4% 올랐다. 원재료, 중간재, 최종재 물가가 각각 5.1%, 0.9%, 1.2%씩 상승했다. 국내 출하에 수출품까지 더한 8월 총산출물가지수는 7월보다 1.6% 뛰었다. 농림수산품(7.1%), 공산품(2.1%), 서비스(0.3%) 등이 올랐고 광산품은 전월과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유성욱 한은 물가통계팀장은 9월생산자물가지수 전망에 대해 "국제유가 상승의 영향을 받을 수 있겠지만, 이 지수에 다양한 품목이 포함돼있기 때문에 현재 시점에서 (지수 수준을) 예측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
- 경제
-
한국은행, 8월 생산자물가 0.9% 상승…유가 상승 여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