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월 수출금액 13개월만에 상승세 전환
- 교역조건도 6월 이후 5개월 연속 개선
- 수입금액지수는 8개월째 내림세

10월 수출금액지수가 친환경 차량의 해외 판매가 늘고 정유사 가동률이 높아지면서 13개월 만에 상승세로 전환됐다.
수입 가격의 하락이 수출 가격 하락을 상회하면서 교역조건이 5개월 연속 개선됐다.
29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무역지수 및 교역조건' 통계에 따르면, 10월 수출금액지수는 2015년을 기준으로 128.13을 기록, 전년 동월 대비 2.4% 상승했다. 이는 지난해 10월부터 올해 9월까지 12개월 연속 하락한 후 상승세로 돌아선 것이다.
품목별로는 컴퓨터, 전자 및 광학기기가 4.6%, 화학제품이 3.5% 감소했으나, 운송장비와 석탄 및 석유제품의 수출이 각각 13.2%, 17.4% 증가하며 전체 수출 증가에 기여했다.
유성욱 한국은행 물가통계팀장은 브리핑에서 "북미 시장 중심으로 친환경 차와 스포츠유틸리티차(SUV) 차량 등 고부가가치 차량의 판매 호조세가 지속됐다"며 "정유사들의 정기 보수 기간이 종료되면서 가동률이 상승해 수출 물량이 증가했다"고 진단했다.

10월 수출물량지수는 125.29로, 지난해 10월 대비 7.4% 올랐다. 이 지수는 지난 9월 상승 전환한 이후 두 달 연속으로 증가세를 보였다.
섬유 및 가죽제품은 6.9%, 전기장비는 0.1% 감소했지만, 석탄 및 석유제품은 28.6%, 컴퓨터, 전자 및 광학기기는 6.1% 증가하며 수출 물량 증가에 기여했다.
10월 수입금액지수는 147.76으로, 전년 동월 대비 10.5% 감소했다. 이는 지난 3월 이후 8개월 연속 하락세를 기록한 것이다.
개별 품목 중에서는 광산품이 20.1%, 컴퓨터, 전자 및 광학기기가 10.3% 크게 감소했다.
수입물량지수는 123.73으로, 지난해 10월 대비 5.0% 하락했다. 이 지수 역시 지난 7월 이후 4개월 연속 내림세를 보이고 있다.
수출입금액지수는 특정 시점의 달러 기준 수출입 금액을 기준시점(2015년)의 수출입 금액으로 나누어 산출하는 지표다. 수출입물량지수는 이렇게 산출된 수출입금액지수를 수출입물가지수로 나누어 계산된다.

10월 순상품교역조건지수는 85.64로, 1년 전보다 1.1% 상승해 5개월 연속 상승세를 기록했다. 이는 수입 가격이 5.8% 하락한 반면, 수출 가격은 4.7% 하락하여 수입 가격의 하락이 수출 가격의 하락보다 더 컸기 때문이다.
유 팀장은 반도체 수출 가격이 상승하고 광산품 수입 가격이 하락하여 순상품교역조건지수가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이 지수는 수출상품 한 단위 가격과 수입 상품 한 단위 가격의 비율을 나타내며, 한국이 한 단위의 수출로 얼마나 많은 양의 수입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다.
10월 소득교역조건지수는 107.30으로, 수출물량지수(7.4%)와 순상품교역조건지수(1.1%) 모두 상승함에 따라 전년 동월 대비 8.6% 증가했다. 이는 지난 6월 이후 5개월 연속 상승세를 보인 결과다.
소득교역조건지수는 한 나라의 수출 총액으로 수입할 수 있는 전체 상품의 양을 나타내는 지표다. 이 지수가 상승한다는 것은 수출 총액으로 더 많은 양의 상품을 수입할 수 있다는 의미를 가지며, 국가의 무역 여건이 개선되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